학술논문
鄭 魯 湜 論
이용수 2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유영대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2집, 367~3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1.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판소리에 관하여 관심을 가져본 사람이라면 예외없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책이 󰡔朝鮮唱劇史󰡕이다. 그리고 그 책을 지은 정노식을 알게 된다. 우리가 알기로 정노식은 판소리 이론가이다. 특히 우리 문화가 가장 심하게 훼손되었던 시기인 일제 때, 판소리의 실상을 체계있게 면담조사한 연구자로는 정노식이 유일하다.
정노식의 저서 󰡔朝鮮唱劇史󰡕를 읽어보노라면 그가 뛰어난 판소리 감상자였으며, 이론가였다는 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정노식은 판소리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가졌으며, 실제로 판소리의 총체적 측면을 제대로 이해한 애호가였다. 그러면서도 아직껏 그의 이력에 대한 간략한 보고서 하나 없었으며, 󰡔朝鮮唱劇史󰡕에 대한 검토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보면, 우리 학적 축적 수준을 알게할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어떤 신화적 금기 같은 것이 있지 않나하는 기이한 느낌이 든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鄭魯湜의 生涯
3. 󰡔朝鮮唱劇史󰡕의 체제와 의의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설화에 나타난 ‘버들잎 화소’의 서사적 기능과 의의
- 鄭 魯 湜 論
- 손진태의 구비문학 연구
- 任晳宰論 : 巫歌硏究를 中心으로
- 高晶玉(1911-1968)의 구비문학 연구
- 韓,中 설화에 나타난 ‘姜太公’
- ‘선류몽’담의 거인설화적 성격
- <鳳城文餘>에 실린 巫歌관계 자료의 의의
- 구비설화 텍스트의 언어학적 분석 : 견훤 설화를 대상으로
- 宋錫夏의 民俗劇硏究에 대한 硏究史的 검토
- 궁예이야기의 전승양상과 의미
- 설화에 나타난 미륵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 경기도 지역 화랭이 무가 연구 : 조한춘의 사례를 중심으로
- 東野彙輯의 諧鐸 수용 양상
- <三國史記>所載 高句麗 初期 王權說話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