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징해석을 통한 창세여신 설문대 할망 이미지 복원
이용수 13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고혜경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28집,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설문대 할망은 제주우주의 창세여신이다. 조각조각 남겨진 할망 신화의 파편들과 각각의 자리를 탐색하여 할망의 이미지를 재구성해 보려 한다. 이 작업은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파편들은 원형적 이미지라는 심층 심리학적 명제를 전제로 가능하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알란 던디스가 실용적으로 분류한 심리적-상징적 시각을 적용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연상 확충하여 신화 파편에 담긴 은유와 상징의 이해를 꾀한다. 이를 통해 설문대 할망의 창조행위와 특질을 이해하려 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설문대 할망 신화와 해석
1) 빛의 길삼: 우주의 질서를 짜는 할망
2) 미완의 속옷과 완성되지 않는 다리
3) 똥구멍으로 출산한 황금빛 오름
4) 바다를 만든 오줌홍수
5) 할망의 삼발 솥덕
6) 자궁 안에 낚은 고기
7) 할망의 죽음
8) 창조행위로서의 잠
3.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비문학에 나타난 부녀관계의 원형 : ‘집 나가는 딸’ 유형의 설화를 중심으로
- 침향산(沈香山) 조설방식의 특성과 연행양상
- 구비문학에 나타난 부친탐색 원형
-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과 그 의의
- 상징해석을 통한 창세여신 설문대 할망 이미지 복원
-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 <장자못 전설>의 전파력 연구 :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中國 幻夢說話에 나타난 時間의 原型
- 입사식 원형으로서의 버림/버려짐 모티프와 상자 모티프 : <궤네깃당본풀이>를 중심으로
- 희생제의 설화의 원형성 연구 : 인신공희 설화 중심
- 구비문학에 나타난 꽃 원형 : 이야기와 본풀이를 예증삼아
- 제주도와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신화에 보이는 입도녀·토착남 화소의 비교 고찰
- 구비서사에 나타난 ‘말’의 원형적 성격
- 거짓말 딜레마와 이야기의 역설 : 설화 <거짓말 세 마디로 장가든 사람>의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