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 문학의 애니메이션 활용에 관한 방안과 전망
이용수 30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조미라 윤의섭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8집, 125~15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비문학의 애니메이션 활용에 대한 방안과 전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특히, 구비문학의 특성 중 애니메이션에 가장 필수적이고도 가장 실용적인 부분을 부각시키면서, 그 특성을 애니메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구비문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애니메이션화 할 수 있는가를 제시함으로써, 구비문학에 내재한 활용 방안을 이끌어낼 것이다. 이는 구비문학과 애니메이션의 상호 보완적 특성을 접목시키고자 하는 의도이며, 이 연구를 통해 구비문학의 심도 있는 애니메이션화가 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애니메이션과 관련한 구비문학의 특징
3. 구비 문학의 애니메이션 활용의 한계와 극복
1) 소재주의와 세계관의 한계
2) 구비문학의 창조적 재구성과 탈시간화
4. 구비 문학의 애니메이션 활용 방안
1) 문화콘텐츠화된 구비 문학의 활용
2) 구비문학의 창조적 시나리오화
3) 구비 문학의 분할적 활용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시아 구비서사시 이론 구축을 위한 사례 점검(Ⅱ) : 티베트의 영웅서사시 <게사르>를 중심으로
- 수수께끼와 수수께끼담의 관련 양상
- 韓·中 科擧說話 비교 연구
- 구비 문학의 애니메이션 활용에 관한 방안과 전망
- 동물 보은담에 갈무리된 공생적 동물인식과 생태학적 자연관
- 현대신화의 행방을 찾아서
- 창작 판소리의 사적 전개와 요청적 과제
- 중세 동아시아의 괴뢰희 양상 : 천민 계층과 관련하여
- 아동의 이야기와 호랑이 설화의 내면화
- 입으로 새기는 현대적 축제 : 구비문학과 지역축제의 상생을 위하여
- 구비문학의 미래, 무엇이 문제인가?
- 설화의 범주와 갈래, 그 미래적 전망
- 남슬라브족의 민중영웅 마르코 끄랄례비치(Marko Kraljević)의 ‘인간적 영웅’으로서의 면모
- 연행 및 전승 맥락에서 본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 : 진도씻김굿을 중심으로
- 문화산업과 민요콘텐츠 : 문화원형사업 <한국의 소리은행>개발을 중심으로
- 예천 청단놀음의 대립 구조와 지역성
- 열녀설화의 장르확산과 열녀 이미지의 변모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건륭제(乾隆帝)의 취진자(聚珍字)와 정조(正祖)의 생생자(生生字) - ‘생생자’ 용어의 부활을 기다리며
- 미타 정토 신앙과 「안락국태자전」을 통해 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도상 스토리와 명문의 이해
- 하버드 옌칭도서관 소장 육군 통역 고이즈미 데이조(小泉貞造) 자료에 대하여 (4)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