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체육학도의 공부법
이용수 5
- 영문명
- Studying way for the college student majored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이철원(Lee Chul Won)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예·체능』연세대학교 체육연구논문집 제11권 1호, 41~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소고는 사회체육학도의 정체성 위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사회 곳 곳에서 체육과 스포츠에 대하여 이야기 하지만 정작 사회체육학을 공부하는 우리는 사회에 진출할 방향이 모호하다는 문제에 자주 봉착하고 고민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한국 사회에서 사회체육학 전공자가 학부를 졸업한 후에 겪는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과 좌절을 인식하고 그리고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으로 성공적인 사회체육학도로서 거듭나기에 대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이 글은 몇 가지 문제의식을 던지고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체육학도의 정체성에 대한 자문이다. 이 문제의 답으로 우리를 사회와 사회체육학이라는 수단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존재로 규정지었다. 둘째, 사회체육학이 전문화된 이유로 학문의 전문적 지식 정도, 사회에 특정 업무를 수행하며 관여하는 정도 그리고 학문 분야의 조직 구성원 여부를 들었다. 셋째, 사회가 필요한 사회체육학도의 공부 방법을 지식 공부법과 생활 공부법으로 나누어 균형 있는 공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하여 사회체육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학문에 대한 애착을 심어 주고 동시에 보다 이 분야에서의 성공적인 준비를 할 수 있는 밑그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way of study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ed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This suggested three perspectives related to the effective studying way.
Firstly, the college students majored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should prepare to communicate by the physical and cognitive knowledges to other social relations. Secondly, the academic field is clearly specialized in terms of knowledge, social task and organization in Korean society. Thirdly, both studying knowledge and life are considered properly during college years. It will helpful to prepare the job selection and contribution when the college student graduates.
This was based on the writer`s observation and thinking. As a professor in this field, I have sicken for the unsolved question such as how we study effectively to prepare the future in Korean society. This writing originally pursued to explain the above question which is still giving me a lot of stress in working as the professor.
Firstly, the college students majored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should prepare to communicate by the physical and cognitive knowledges to other social relations. Secondly, the academic field is clearly specialized in terms of knowledge, social task and organization in Korean society. Thirdly, both studying knowledge and life are considered properly during college years. It will helpful to prepare the job selection and contribution when the college student graduates.
This was based on the writer`s observation and thinking. As a professor in this field, I have sicken for the unsolved question such as how we study effectively to prepare the future in Korean society. This writing originally pursued to explain the above question which is still giving me a lot of stress in working as the professor.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우리의 정체성 탐색
Ⅱ. 학문의 전문화에 대한 관점
Ⅲ. 사회체육학도의 두 가지 공부법
Ⅳ. 나가는 말: 자아 실현과 성공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우리의 정체성 탐색
Ⅱ. 학문의 전문화에 대한 관점
Ⅲ. 사회체육학도의 두 가지 공부법
Ⅳ. 나가는 말: 자아 실현과 성공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