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칼 드라이어(Carl Th. Dreyer)와 로베르 브레쏭(Robert Bresson)의 영화에 나타난 ‘진정성 (Authenticity)’ 비교 연구 - 〈잔 다르크의 열정 The Passion of Joan of Arc (1928)〉 과 〈잔다르크의 재판 The Trial of Joan of Arc (1962)〉을 중심으로

이용수  21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Authenticity" of Carl Th. Dreyer and Robert Bresson Films : On 〈The Passion of Joan of Arc〉 and 〈The Trial of Joan of Arc〉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영혜(Yeong-Hye Kim)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영화교육연구 제5집,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ssion of Joan of Arc〉 and 〈The Trial of Joan of Arc〉 are films thoroughly based on the formal record of the trial of Joan of Arc which was held in 1431. Both directors aimed at making a sort of `docu-drama`, faithfully depicting the authentic image of Joan of Arc. Dreyer clearly stated his own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saw Joan as `a young, pious woman confronted by a group of orthodox theologians and powerful judges`, while Bresson wouldn`t add anything to the text. This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 leads to the different style of the two films. Dreyer`s film has clear confrontational composition; `the innocent persecuted` vs `the cruel persecutors`. To empathize Joan as a `lonely persecuted`, Dreyer heavily depended on use of close-ups of the actress`s face. On the contrary, Bresson photographed the actors with medium shot size throughout the whole film. Instead of exploiting the actors` performance, Bresson was concentrated on showing `the activity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or `what is questioned and what is answered`. By taking this strategy, Bresson produced the image of Joan as `a courageous, dignified person who faithfully represents `the voice of God`` and the image of the priests as `serious, orthodox believers who simply served on behalf of their religion`. Because of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different concept of the `authenticity` of Joan of Arc, two directors made totally different films of her even though both of them aimed a documentary-like film.

목차

들어가는 말
1. 오프닝
2. 심문-재판정에서
3. 심문-감방에서
4. 심문-고문실에서
5. 굴복과 번복
6. 화형, 그리고 승천
결론
〈참고문헌〉
〈영문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혜(Yeong-Hye Kim). (2006).칼 드라이어(Carl Th. Dreyer)와 로베르 브레쏭(Robert Bresson)의 영화에 나타난 ‘진정성 (Authenticity)’ 비교 연구 - 〈잔 다르크의 열정 The Passion of Joan of Arc (1928)〉 과 〈잔다르크의 재판 The Trial of Joan of Arc (1962)〉을 중심으로. 개인저작물 - 사회, 5 , 1-17

MLA

김영혜(Yeong-Hye Kim). "칼 드라이어(Carl Th. Dreyer)와 로베르 브레쏭(Robert Bresson)의 영화에 나타난 ‘진정성 (Authenticity)’ 비교 연구 - 〈잔 다르크의 열정 The Passion of Joan of Arc (1928)〉 과 〈잔다르크의 재판 The Trial of Joan of Arc (1962)〉을 중심으로." 개인저작물 - 사회, 5.(2006):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