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근에 이루어진 고전산문 분야의 문헌학적 성과들에 대하여

이용수  17

영문명
On Recent Bibliographical Achievements Made in the Area of Classical Prose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이복규(Yi Bok-Kyu)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인문』한국문학논총 제26집, 5~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6.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some recent findings made possible b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s in Korean Classical Prose.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myth of Tongmy?ng is distinguished from the myth of Chumong in that the former belongs to Puy? mythology while the latter belongs to Kogury? mythology.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version of S?lgongchanj?n(薛公瓚傳) proves the existence of novels in Korean prior to Honggildongj?n(홍길동전).
Third, the Korean version of Chusangj?n(周生傳) proves that the audience of the grotesque novels expanded to the lower class.
Fourth, Wangsibongj?n(왕시봉전) and Wangsibunggiugi(王十朋奇遇記) are novels that were revised from the Chinese play Hy?ngchgi9荊釵記). Fifth, the bibliographical evidence that Honggildongj?n(홍길동전) should be seen as the first novel in Korean is not well-founded.
Finally, the heroic novel that caused a murder case in late Chosun Dynasty in the cigar shop where the novel was read in front of the audience was Imgy?ng?pj?n(임경업전).

목차

Ⅰ. 머리말
Ⅱ. 동명신화와 주몽신화의 관계
Ⅲ. 〈설공찬전〉 국문본 출현의 의의
Ⅳ. 〈주생전〉 국문본 출현의 의의
Ⅴ. 〈왕시봉전〉ㆍ〈왕시봉기우기(王十朋奇遇記)〉와 중국희곡 〈형차기〉의 관계
Ⅵ. 〈홍길동전〉 최초 국문소설설의 문헌적 근거 재검토
Ⅶ. 조선후기 소설 낭독 현장에서 살인을 야기한 작품의 정체
Ⅶ.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복규(Yi Bok-Kyu). (2000).최근에 이루어진 고전산문 분야의 문헌학적 성과들에 대하여. 개인저작물 - 인문, 26 , 5-25

MLA

이복규(Yi Bok-Kyu). "최근에 이루어진 고전산문 분야의 문헌학적 성과들에 대하여." 개인저작물 - 인문, 26.(2000): 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