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이용수  252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areer Barriers Scale for Female Adolescents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황매향(Mae-Hyang Hwang) 이은설(Eun-Sul Lee) 유성경(Sung-Kyung Yoo)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상담학연구 제6권 제4호, 1204~1223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ㆍ중ㆍ고 여학생에게 사용될 수 있는 진로장벽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Swanson의 CBI-R(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등의 외국 척도와 국내의 진로장벽 척도를 참고하여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 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의 7가지 하위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했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초ㆍ중ㆍ고 여학생 729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를 통해 42 문항의 진로장벽척도를 구성했고, 650명의 초ㆍ중ㆍ고 여학생에게 본 검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 자료를 토대로 진로장벽 척도에 대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요인수는 7개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의 요인계수도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별 내적 합치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대해 요약하고, 여자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7개 요인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e an Career Barriers Scale for Korean femal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framework of CBI-R(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developed by Swanson and Daniels(1995) and the previously developed empirical evidence, 47 preliminary items of seven-factor structure were constructed, Preliminary item and scale analyses wer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72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42-item final scale consists of seven-factor of career barriers subscales(4 items of lack of self-apprehension, 11 items of lack of self-confidence, 8 items of sex-role conflict and sex discrimination, 6 items of disapproval by significant others, 4 items of uncertainty about future, 4 items of lack of career-related information, 5 items of lack of financial support). Data from 62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for the final scale were analysed to confirm the factorial validity of the seven-factor mod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seven-factor structure of career barriers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career barriers structure of Korean female adolescent student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seven-factor model fits the data better than the other six-factor or eight-factor model.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reasonably high ranging from .67 to .86.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진로장벽의 측정
방법
연구결과 및 해석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매향(Mae-Hyang Hwang),이은설(Eun-Sul Lee),유성경(Sung-Kyung Yoo). (2005).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개인저작물 - 사회, 6 (4), 1204-1223

MLA

황매향(Mae-Hyang Hwang),이은설(Eun-Sul Lee),유성경(Sung-Kyung Yoo).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개인저작물 - 사회, 6.4(2005): 1204-1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