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lgerian Women and Alternative Modernities: From the Colonial Civilizing Mission to Family Law and Feminism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김효정(Hyo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5권 3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오랜 기간(1830–1962) 식민지배를 경험하고 치열한 독립전쟁을 겪은 알제리의 여성은 이슬람 여성의 어둡고 모순적인 역사를 대변한다. 프랑스의 식민주의, 독립전쟁 시기의 민족주의, 독립 이후의 이슬람주의 등 역사의 흐름 속에서 알제리 여성은 다양한 이데올로기의 시험대에 올랐다. 식민 당국은 남성 중심 저항을 약화시키기 위해 가부장제의 해체를 도모하며, 히잡 벗기 캠페인을 추진하였고 여성의 선택권을 제한함으로써 자율성을 억압하였다. 독립전쟁 중 민족주의 담론 속 남성 권력은 여성의 은닉성과 익명성을 전술적 자산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근거로 여성을 전선에 동원하였다. 그러나 독립 이후 새로운 국가 건설 과정에서 이슬람을 기치로 한 국가상을 마련하기 위해 다시금 여성을 샤리아 질서 속 ‘이슬람적 여성상’으로 회귀시켰다. 이렇듯 식민통치, 민족주의, 이슬람주의, 그리고 정치적 과도기를 지나면서 여성의 지위는 끊임없이 시대적 상황과 권력의 이해관계 속에 변동해 왔다. 그 결과 여성은 독립된 주체로 인정받기보다는 상이한 권력의 이해관계 속에서 타자(他者)로 규정되어 왔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만 다루어졌던 식민주의, 민족주의, 이슬람주의를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함으로써 알제리 여성의 근대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특정 시기의 여성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식민지 지배 담론에서 독립 이후 가족법, 그리고 최근의 히라크(al-ḥirāk) 운동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관통하며 다층적, 모순적으로 형성되어온 근대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알제리 여성의 경험을 서구 근대성의 단순한 차용 혹은 재현이 아닌 대안적 근대성의 모색 과정으로 재해석하고, 오늘날 여성운동의 전망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영문 초록
Algerian women have undergone dynamic social transformations throughout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s. Under French colonialism, women were mobilized as symbols of national identi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ivilizing mission,” while after independence they were again constrained by a patriarchal family code. Yet, even within this history of oppression, women began to articulate autonomous voices of resistance. The family code protests of the 1980s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laying the groundwork for feminist movements that did not simply imitate Western modernity but instead sought to forge an alternative modernity. Algerian feminism thus emerged as a driving force of social reform, linking democratic struggle with gender e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layered and often contradictory forms of modernity shaped by colonialism, nationalism, Islamism, and feminism in Algeria, and explores how women’s movements have continued to reconfigure these dynamics through the lens of 'alternative modern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근대성의 이식: 식민주의 담론과 근대성의 양가성
Ⅲ. 근대성의 재구성: 가족법 반대 운동과 이슬람주의 부상
Ⅳ. 근대성의 균열: 페미니즘과 대안적 근대성의 모색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생성형 AI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역할의 재정립
- AI 시대, 대학생의 인성교육 현황과 시사점: 2개 대학의 인성교육 사례 분석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레바논 디아스포라의 형성과 본국과의 관계 연구
- 알제리 여성과 대안적 근대성: 식민지 문명화에서 가족법과 페미니즘까지
- 사우디아라비아 알-오낄라트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와 집단기억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