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깨 Grashey 촬영에서 반달 표시 너비를 활용한 체간 회전각의 CT 기반 예측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T-Based Prediction of Trunk Rotation Angle Using Half-Moon Sign Distance in the Shoulder Grashey Projection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장수한(Su-Han Jang)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5호, 463~47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Grashey 촬영 영상에서 관절이 완벽히 분리되지 않는 경우 나타나는 반달 표시의 너비와 환자 회전 각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영상 촬영 시 필요한 적절한 회전 각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2020년부 터 2023년까지 어깨 일반촬영과 CT 영상을 모두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측정값의 신뢰성 을 확보하기 위해서 두 명의 방사선사가 일반촬영 반달 표시 너비와 CT 반달 표시 너비, 일반촬영 접시오목 너비, CT 접시오 목 너비, 환자 체간 회전 각도를 독립적으로 측정하였다. 두 명의 방사선사가 측정한 값의 관찰자 간 신뢰도는(ICC≥0.88) 높 았다. 측정 결과, 일반촬영에서의 반달 표시 너비와 CT 영상에서의 반달 표시 너비는 각각 12.64±4.41 mm와 12.60±4.27 mm였으며, 접시오목 너비는 각각 17.27±3.67 mm와 17.28±3.65 mm로 나타났다. 일반촬영과 CT 영상 간의 측정값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환자 체간 회전 각도는 평균 33.91°±6.97로 나타났다. Pearson 상관분석 결과, 반달 표시 너비와 접시오목 너비는 모두 회전 각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다중 선형회귀분석 결과, 일반 촬영 반달 표시만이 회전 각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단순 선형회귀분석 결과, 일반촬영 반달 표시가 1mm 증가할 때마다 환자 체간 회전 각도는 약 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반달 표시 너비를 바탕으로 촬영 시 적절한 회전 각도를 예측할 수 있는 실용적인 참고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자세 설 정, 반복 촬영 감소, 방사선 피폭 노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of the half-moon sign a radiographic indicator appearing when the glenohumeral joint is not fully separated on Grashey view radiographs and the patient trunk rotation angle. The study also sought to propose an optimal rotation angle for accurate imaging.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 ducted on 30 patients who underwent both shoulder radiography and CT between 2020 and 2023. To ensure measurement reliability, two radiologic technologists independently measured the half-moon sign distance on radiographs GHMD: General radiography Half Moon sign Distance and CT images CHMD: Computed tomography Half Moon sign Distance, the glenoid fossa distance on radiographs GGFD: General radiography Glenoid Fossa Distance and CT CGFD: Computed tomography Glenoid Fossa Distance, and the PTRA: Patient Trunk Rotation Angle on CT.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high for all parame- ters (ICC≥0.88). The mean half-moon sign distances were 12.64±4.41 mm on radiographs and 12.60±4.27 mm on CT, while the mean glenoid fossa distances were 17.27±3.67 mm and 17.28±3.65 mm,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radiographic and CT measurements (p>0.05). The mean PTRA on CT was 33.91°±6.97.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the half-moon sign distance and glenoid fossa dist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TRA (p<0.05). Multiple linear regression identified GHMD 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TRA. Simple linear regression further demonstrated that each 1 mm increase in GHMD corresponded to an approximately 1.3° increase in PTRA. This study pro- vides a practical reference for predicting patient trunk rotation based on the half-moon sign distance, suggesting its clinical utility in individualized positioning, reducing repeat imaging, and minimizing radiation exposur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한(Su-Han Jang). (2025).어깨 Grashey 촬영에서 반달 표시 너비를 활용한 체간 회전각의 CT 기반 예측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48 (5), 463-472

MLA

장수한(Su-Han Jang). "어깨 Grashey 촬영에서 반달 표시 너비를 활용한 체간 회전각의 CT 기반 예측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48.5(2025): 463-4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