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연계구조와 연결성 강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inkage Structure and Connectivity of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발행기관
한국국제상학회
저자명
김승철(Seung-Chul Kim) 강효원(Hyo-Won Kang)
간행물 정보
『국제상학』第40卷 第2號, 77~9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흐름과 체계를 파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 당사자간의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연계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 체계와 플랫폼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연계구조 매트릭스를 도출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기관별, 업무별 연계 정도는 선사, 관세청, 화주, 포워더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사 중심으로 가장 많은 항만물류 데이터 업무 연계 및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새로운 업무 연계 발생 시 가장 빠르게 업무 연계 확산을 이룰 수 있으며 영향력 있는 주체들과 업무 연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주의 경우 선사, 관세청 등 수출입 항만물류 데이터 프로세서상 영향력이 높은 주체들과의 정보 생성, 유통, 인허가 등의 업무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고유벡터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거버넌스 체계의 수립, 항만물류데이터의 표준화 연계체계 구축, 데이터 표준전환 및 운영 인센티브 제공, 법제도의 구축, 수출입항만물류데이터 기본계획 및 정책수립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low and system of Korea's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and to understand the linkage structure of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network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oretical analysis of import/export port logistics data systems and platform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deriving a linkage structure matrix. Results: The degree of linkage of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by institution and business was found to be high in shipping companies, customs agencies, shippers, and forwarders.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port logistics data business links and relationships are formed, centering on shipping companies, and when a new business link occurs, the fastest business link can be achieved and the business link with influential subjects is strong. In the case of shippers, it was judged that the centrality of unique vectors is the highest because information generation, distribution, and licensing are actively taking place with subjects with high influence in the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processor, such as shipping companies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Conclusions: Alternatives such as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establishing a standardized linkage system for port logistics data, changing data standards and providing operational incentives, establishing a legal system, and establishing a basic plan and policy for import and export port logistics data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연구
Ⅲ.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 체계와 프로세서
Ⅳ.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 연계구조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철(Seung-Chul Kim),강효원(Hyo-Won Kang). (2025).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연계구조와 연결성 강화 연구. 국제상학, 40 (2), 77-94

MLA

김승철(Seung-Chul Kim),강효원(Hyo-Won Kang). "수출입 항만물류데이터의 연계구조와 연결성 강화 연구." 국제상학, 40.2(2025): 77-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