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Learning Patterns in Basic and Clinical Dental Hygiene Using Generative AI and Process Mining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강해미(Hae-Mi Kang) 강현경(Hyun-Ky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3권 제3호, 30~3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self-regulated learning (SRL) patterns in dental hygiene education using process mining and generative AI, comparing learning behaviors between basic and clinical courses to develop optimized educational approaches.
Method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national examination questions were implemented with students (n = 10) participating in AI-assisted learning sessions structured on Zimmerman's SRL theory. Student-AI interactions were coded into four categories: definition (D.G), exploration (S.S), problem-solving (C.A), and reflection (E.RV).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lpha, Heuristic, Fuzzy, and Inductive Miner algorithms.
Results: Problem-solving (D.G or C.A) emerged as the primary learning activity in both courses, with reflection (E.RV) commonly observed. Clinical dental hygiene showed balanced SRL phases, with effective use of exploration (S.S) and advanced problem-solving (C.A). Basic dental hygiene demonstrated insufficient exploration phases and prominent problem-solving/reflection loops. Process mining revealed exploration-reflection loops in clinical courses versus definition-reflection patterns in basic courses.
Conclusions: Process mining provides educators with data-driven insights into students' SRL patterns, enabling personalized teaching method development. Educators can identify bottlenecks and intervention points to build effective feedback systems. Students using generative AI can recognize their learning patterns and develop metacognitive strategies, enhancing thei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clinical problem-solving, and lifelong learning abiliti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목차
- 40세 이상 성인의 성별에 따른 구강건강 행태와 정신건강이 저작 불편에 미치는 영향: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부 지역 노인의 구강건강인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전신질환과 구강건강관련성 인식에 대한 연구
- 생성형 AI와 프로세스 마이닝을 활용한 기초 및 임상 치위생학 학습 패턴 비교 연구
- COVID-19 팬데믹 전·중·후 시기별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수면행태 및 구강건강상태와 우울증상(PHQ-9)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2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 스마트폰 과의존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분석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마음챙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기술 기반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VR, AR,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머신러닝을 이용한 노인의 잔존치아 수 예측모형 개발: 고령화연구 패널조사 9차 자료를 활용하여
- 일부 성인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65세 이상 노인에서 흉쇄유돌근 마사지가 타액 분비율과 교합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전신질환이 치과진료 미충족률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2023년) 자료 분석
- 해조류 추출물의 우치 미백 효과와 셀프 성형 트레이를 활용한 치아미백 임상시험 연구
-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습몰입, 자기통제력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 2. 구강스캐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목차
- 40세 이상 성인의 성별에 따른 구강건강 행태와 정신건강이 저작 불편에 미치는 영향: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