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Structural Limitations of Universal Design in Professional Sports Fac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공공디자인학회
- 저자명
- 노규랑(Gyu-Rang No) 장영호(Young-Ho Jang)
- 간행물 정보
- 『공공디자인연구』제18호, 7~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고령화와 사회적 다양성의 증대에 따라 스포츠 공간의 물리적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은 단순한 복지 영역을 넘어 공공성과 수익성 모두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프로스포츠 경기장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프로구단이 임대 또는 위탁 운영하는 구조 속에서 초기 투자에 대한 책임과 수익 환수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이는 UD 도입을 저해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관람 편의성 확보는 경기장의 사회적 책무뿐만 아니라, 팬층 확대와 수익 구조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도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주요 경기장의 사례 분석을 통해 UD의 전략적 효과를 고찰하고, 국내 적용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소유-운영 구조의 재정립, 관련 법령의 실효성 강화, 재정 인센티브의 체계화, 민관 협력 기반의 실행 구조 마련, 그리고 UD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등이 주요 정책 과제로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With the growing societal demand for diversity, equity, and aging-in-place support, accessibility in public facilities—especially stadiums—has become a crucial issue not only in terms of welfare, but also in relation to profitability, sustainability, and audience expansion. However, most professional sports stadiums in Korea are owned by local governments and operated by professional clubs under lease or delegation agreements. This ownership-operation separation has led to a disjunction between financial responsibility and revenue gain, making it difficult to prioritize investments in UD facilities. The lack of adequate physical acces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is not merely an issue of convenience, but a critical barrier to equitable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recreational life. Drawing upon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particularly from the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this study highlights UD as a strategic asset that enhances fan experience, strengthens brand identity, and fulfill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including the restructuring of ownership and operational frameworks, strengthening of legal enforcement, implementation of fiscal incentives, development of multi-stakeholder collaboration systems, and broad-based public awareness campaigns.
목차
1. 서론
2. UD의 가치와 프로스포츠 시설 운영 특성
3. 국내외 UD 적용 사례 비교
4. 수익성과 UD 적용의 충돌 회피를 위한 정책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국내 프로스포츠 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실태와 구조적 한계에 관한 연구
- 문화·경제 통합 관점의 복합재생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지역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지역 영화제 그래픽 포스터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