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grated Flood Risk Mitigation Measures for the Naengcheon River Basin Against Climate Change: A Case Study of Typhoon Hinnamnor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정태정(Tae Jung Jung) 전계원(Kye Won Jun) 이성수(Sung Soo Lee) 김광기(Kwang K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18권 2호, 37~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집중호우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여기에 도시화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 확대는 유출량 증가와 피해 심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시가지 및 산업단지를 통과하는 하천의 경우, 제방 중심의 기존 하도 대응 치수대책만으로는 치수계획빈도를 초과하는 홍수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유역 중심의 구조적 홍수대책(댐, 저수지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 포항시 냉천 유역을 강타한 태풍 힌남노를 사례로, 실측 강우량을기반으로 홍수량을 산정하고, 하도와 유역 간 통합적 치수대책을 수립하였다. 천변저류지, 홍수조절지, 방수로, 신규 댐·기존 저수지연계운영 등의 구조적 대안을 검토하였으며, 하천과 유역 간 홍수 분담을 고려한 실질적인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중소도시 유역의 기후위기 대응형 방재계획 수립 및 치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무적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Climate change has increasingly intensified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extreme rainfall events. In addition, rapid urbanization and unregulated land development have expanded impervious areas, leading to greater surface runoff and worsening flood damages. In urban and industrial regions where rivers pass through dense developments, traditional flood control measures based solely on levees and river channels are no longer sufficient to manage flood discharges that exceed design standards. Therefore, watershed based structural flood control measures such as dams and reservoirs are required. This study focuses on the Naengcheon River Basin in Pohang City, South Korea, which experienced severe flooding during Typhoon Hinnamnor in 2022. Using observed rainfall data, flood discharges were estimated, and an integrated flood management strategy was developed to distribute flood control between river channels and upstream facilities. Structural alternatives including washlands, flood detention reservoirs (dam), bypass, and combined operation of a new dam and the existing Reservoir were evaluated.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establishing climate adaptive flood risk managementplans and infrastructure, especially in medium sized urban watersheds. This case study offers useful insights for integrated planning of river and watershed-based flood mitigation.
목차
1. 서 론
2. 홍수피해지역 수문량 분석
3. 하도·유역치수대책
4. 결 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