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valence and the Factors ofViolence against Teachers: Focusing on the Role 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최선옥(Sun-O Choi) 염보아(Bo-A Yeom) 황의갑(Eui-Gab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4권 제4호, 165~1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권침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권침해와 관련된 언론보도자료 분석과 이에 따른 학부모의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권침해 가능 상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주요언론과 방송사 그리고 경기지역 종합신문에 보도된 교권침해 기사를 검색하였고 총 449건 중 269건이 ‘교권침해’나 ‘교권침해 보호’와 관련되었다. 그리고 경기도내 초·중·고등학교 95개교 각 1학급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424명 중 불성실한 응답 8명을 제외한 416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부터 언론보도 건수는 증가하고 있고, 2016년에 114건으로 전년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도 6월까지 49건이 보도되어 우리사회의 교권침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분석 결과에서도 학부모들 대다수가 우리사회의 교권침해가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에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의 교권침해는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흥미로운 경향을 보였다. 학부모의 교권침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인권침해에 따른 교권침해 가능 상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학생의 교권침해 가능상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부모의 우리사회와 자녀 학교의 교권침해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권침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변화를 위한 정책대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Violence against teacher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our society. Adding on previous research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by students,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the role 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Out of 449 press release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ith the key words “violence against teacher,” 269 articles were collected and us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The results showed an interesting pattern that more violence against teachers were committed by parents than by students.
As well, the analyses of online survey of 424 par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that those parents who had higher perceptions of general violence against teachers in our society and schools were likely to had higher perceptions of provabi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in the school where their children was associated. On the other hand, those parents who showed a higher evaluation of their schools expressed lower provabi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정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제도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인력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의 개선방안 연구: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을 중심으로
- 교권침해 실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학부모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긴급신고의 위치추적제도 운영 비교: 112 및 119신고를 중심으로
- 집회시위 추세에 대한 종단연구
- 유럽 각국들에서의 최근 테러리즘 동향과 특성, 그리고 대테러 정책의 변화
- 구미시 안전도시 구현을 위한 대책과 과제: 손상사망 예방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비공식학습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