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Cyber-relationship Addiction i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미선(Mi-Se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3권 제4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 중 초등학교 고학년은 자아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로 인간의 전 발달단계 중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 혹은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중·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까지 카톡,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가상공간에서의 대인관계 형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가상공간 내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의관계 형성이 가능하여 SNS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될 수도 있으나, 자기통제력이 부족할 수밖에없는 초등학생에게는 부정적인 요인을 감안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이 왜 가상공간에서의 대인관계를 더 선호하고 의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이외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들이 사이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471명을 분석대상에 이용하였으며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에서는 주관적 행복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령기아동들은 주관적 행복감이 낮을수록 사이버 관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요인에서는 긍정적인 부모양육행동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부모양육행동도 사이버 관계 몰입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요인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령기 아동기에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사이버 관계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기에 사이버 관계 몰입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과 학교폭력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 of Cyber-relationship Addic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ersonal, parent, school factors. I startedthe study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hildren who are dependen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virtual space rather than form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real world. Date include 471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subjective happi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yber-relationship Addiction. Secondly, familial factor had not significant effect.Thirdly,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yber-relationship Addiction. These results suggest it is important to promote subjectivehappiness and school violence in the prevention of cyber-relationship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선(Mi-Seon Kim). (2017).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3 (4), 1-20

MLA

김미선(Mi-Seon Kim).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3.4(2017):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