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Assembly Security Officers’ Work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Pay Equity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강민완(Min-Wan Kang) 이주락(Ju-Lak Lee) 오병일(Byong-Il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0권 제2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회는 여러 집단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장소로서 이에 대한 질서유지업무를 담당하는 경호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일반공무원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 학계에서는 국회 경호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보상공정성 지각에 따른 경호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회 경호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회 경호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역할갈등, 물리적 환경, 역할과다, 역할모호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할갈등 스트레스는 규범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며, 역할모호 스트레스는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반면, 역할과다 스트레스는 조직몰입 중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달리 정(+)의 영향력을 보여 일정 수준의 역할과다 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오히려 순기능적 역할을 하였다. 셋째, 보상공정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보상공정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보상공정성 요인을 잘 관리한다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조직몰입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stress levels of the security officers at the National Assembly in which conflicts between opposing party members break out on a regular basis are expect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ble public officials. However, comprehensive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work stress of the National Assembly security official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author utilized a complete enumeration method with 182 security employees from January 21st to 30th, 2013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role-conflict is found to the most stressful factor followed by physical environments, excessive workload, and role-ambiguity. Specifically, role-conflict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olely on the normative commitment of the security officers while role-ambiguity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heir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normative commitment. demonstrating that a moderate amount of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posi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achievement.
Furthermore,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work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perception of pay equity revealed that pay equity had a moderating effect. This result suggests that if an organization can manage the factors related to pay equity effectively, it can help alleviate the stress of the employees and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policy measures that promote stress management planning in the aspects of institution and policy must be implem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석사학위논문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석사학위논문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한국행정학보
-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 정보·보안 논문지
- 박사학위논문
- 석사학위논문
- 노인복지연구
- 석사학위논문
- 한국치안행정논집
-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 기업윤리연구
- 한국행정학회보
- Personnel Psychology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 New York : Plenum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New York: Prentice Hall Inc
- New York: McGraw-hill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Physical Basis of Yield and Fracture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CCTV 영상 기반 모니터링 및 AI 실시간 침수 예측 모델링을 통한 건설현장 침수 위험 관리
- 사업장 비상대응체계의 일원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사회변화에 따른 통합재난관리체계 평가지표 재구성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