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risis Management System of the Local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찬권(Chan-Gw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9권 제2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95년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이래 지자체의 위기관리체계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현 지자체 위기관리체계의 문제점은 법과제도의 미비, 복잡한 조직편성, 위기관리 전문인력 부족, 지자체장의 위기관리역량 미흡, 그리고 민-관 협력(governance)체제 미약 등으로 인해 기능발휘가 유명무실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취약한 지자체의 위기관리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먼저, 가칭“국가위기관리기본법”을 제정하고, 헌법과 지방자치법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하여 지자체가 책임감을 갖고 위기관리를 하도록 여건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둘째, 중앙정부-지자체간, 지자체 상호간 조직을 연계하여 효율성과 협조가 원활하도록 현재 복잡다단한 조직을 일원화 내지 통합해야 한다. 셋째, 지자체장들의 위기관리역량을 선거시 제시한 공약과 재임 간 위기관리업무 수행정도를 주민들이 평가하고 그 결과에 대해 정치적, 업무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넷째, 지방정부에 위기관리전문 인력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민간대학에 위기관리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수요에 따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기의 이해상관자인 지역주민이나 NGO 등이 지자체와 협력하여 위기대비와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상호 협력체제(governance)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지방정부의 효율성과 통합성이 담보된 위기관리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계, 정부, 시민사회 그리고 민간 기업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ent local government's crisis Management System. Local autonomy system was introduced into our country in 1995s. However, the objective of local autonomy has not fully fulfilled. So, crisis management system is also very weak and limited to existing law and regulation, too. There are other obstacle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state and local government, lack of speciality of man power, Governor's leadership, and so on.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and improve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crisis managing function, I suggest the following steps be followed. First, relevant laws and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we need to give more room to local government to control the crisis management. Second, the vertical administration system, especially for crisis management part, should be reorganized to boost cooperation between state and local departments. we need a hybrid organization in which related organization communicate the effectively. Third, we ne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ystem on the governor's leadership on the crisis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ability. Evaluating on the governors with objective standard is key-element for the system's continual growth. Forth, local government need to establish teaching institutions by which administrators can learn the theories and real fields on crisis control. The institutions would not only give certificates but also help them to find a job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Lastly, for more effective crisis management, we need to construct the governance system in which three sectors can help, and hold each others in check. As security environment changed,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other sectors, such NGOs, and corporations. One-side crisis management system is not effectiveness nowadays.
In conclusion, the local government has to solve their week crisis management ability. the successful crisi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depend on their strong will and 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위기관리 기초 이론
Ⅲ.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체계 현실태 분석
Ⅳ.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체계 발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unter Strategies and Policy Agenda of Private Security against New Terrorism
- 경찰공무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사이버범죄의 상관관계 분석
- Herzberg 이론에 근거한 육군 부사관의 직무만족 요인 연구
- 산업보안의 연구경향 분석 - 학술연구정보서비스(2000년~2011년)를 중심으로
- 테러리스트의 심리적 동기 및 테러발생원인 사례분석
- 지방자치단체 위기관리체계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재난예방훈련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대학 경호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주관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민간경호시장의 문제점에 따른 인력풀제도 도입의 필요성
- 대형 재난사건 이후 정책과정 탐색적 연구
-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민간경비원의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