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ater Marketing Strategies in China in the Post-Pandemic Er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무역연구원
- 저자명
- Ye Ni Maowei Chen
- 간행물 정보
- 『무역연구』제21권 제3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theater marketing strategies in the post-pandemic era, focusing on the shift from passive cultural consumption to immersive, interactive experiences.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key strategies that have enabled theaters to adapt to the new digital landscape and attract a more diverse, younger audie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research employ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conjunction with expert interviews and audience surveys to assess 12 key marketing strategies. The AHP model is instrumental in determining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se strategies and identifying the most influential ones for post-pandemic theater marketing.
Findings - The study identifies four key strategies as the most impactful in post-pandemic theater marketing: program optimization and innovation, enhancement of audience experience, social media promotion, and cross-industry collaboration. These strategies highlight the growing dependence on digitalization and social connectivity to engage younger, tech-savvy audiences. However, the research also reveals gaps in audience relationship management, indicating the need for a more cohesive, data-driven approach to sustain long-term engagement.
Research Implications - This research offers crucial insights into the dynamic field of theater marketing, providing a useful framework for theaters to adapt their strategies in a competitive and increasingly digital cultural market.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alancing content innovation with enhanced audience experience and relationship management to preserve audience loyalty and promote sustained growth. Future studies could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sophisticated analytical tools and the inclusion of broader audience segments to further optimize these strategies.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역연구 제2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 통화 질서의 다극화와 통상전략: 미국과 주요국의 비교 분석
- ESG Initiatives and Firm Valuation: Industry-Level Analysis of Business-to-Consumer and Business-to-Business Secto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and New Product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 한국 농식품 수출기업의 수출지속성에 미치는 요인분석: 거래비용경제학 관점에서
- Portfolio Capital Flows and the Persistence of the U.S. Current Account Deficit
- 영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ater Marketing Strategies in China in the Post-Pandemic Era
- Social Media Application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Trends
- 드론 기반 UAM 라스트마일 운송에서 안전성 요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AM 모델을 중심으로
- 외국인 소유권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수출용역사의 서비스품질이 수출성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출지원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가짜뉴스 연구 동향 분석
- 무역비용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G20 국가를 중심으로
- 친환경 국제 항공운송 표준화 정책으로서의 CORSIA의 해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주요 선진국 항공 탄소 정책과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al Impact of Language Distance and Visa Policy Convenience on China’s Tourism Service Trade
- 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상 ‘위임 또는 지시’의 해석과 적용
- 우리나라의 편의점을 활용한 재난관리와 사회적 공공인프라에 표준화에 관한 연구: K-편의점 해외수출을 중심으로
- 무역예측의 정밀도 향상과 SHAP 기반 변수 영향력 해석: 환경상품 사례 분석
- 중국 패션 라이브커머스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신뢰 및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과 아세안 국가 간 수출에 미치는 영향
- 국제 원조와 금융 발전의 상호작용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리랑카 사례 분석
- 환경정책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장률 간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무역연구 제2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 통화 질서의 다극화와 통상전략: 미국과 주요국의 비교 분석
- ESG Initiatives and Firm Valuation: Industry-Level Analysis of Business-to-Consumer and Business-to-Business Secto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