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formers’ Theological Understandings on the Sacrament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김균진(Kyuun-Ji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6호, 237~27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종교개혁은 칭의론을 그 내적 동인으로 가진다고 말한다. 그래서 칭의론이 “종교개혁의 출발점”이라 말한다. 물론 칭의론이 종교개혁의 근거로 전제되어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종교개혁의 직접적 동인은 당시 로마가톨릭교회의 불의와 타락을 극복하고, 인간의 권리와 자유를 실현코자 하는 청년 루터의 의지에 있다. 따라서 루터를 위시한 종교개혁자들의 성례론은 그들의 다른 모든 신학적 이론들처럼, “자유의 정신”을 그 속에 담지하고 있다. 「교회의 바빌론 포로 신세」(De captivitate Babylonica ecclesiae)라는 루터의 성례론의 저서 제목은 이를 시사한다.
이 같은 기본 관점에서 본 논문은 종교개혁자들의 성례론 가운데 로마가톨릭교회의 성례 자동주의와 화체론에 대한 루터, 칼뱅, 츠빙글리의 비판을 기술한다. 개신교회 분열의 원인이 되는 그리스도의 임재에 대한 이들 개혁자들의 입장을 기술하고, 화해와 일치에 이르기 위한 20세기 에큐메니칼 대화를 약술한다. 아울러 성례에 대한 인격주의적, 종말론적 이해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Generally speaking in theology, the Reformation of Martin Luther ha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its inner motive.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called the starting point or the key of the Reformation. This paper affirms this generally-accepted idea, but it points out that the real motive of the Reformation lies in the young Luther’s will to overcome injustice and corrupt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o realize the human right and freedom. Thus, it analyzes the Reformers’ theological thoughts on the Sacrament with focus on how they bear the “Spirit of Freedom.” For example, the title of Luther’s book on sacrament “De captivitate Babylonica ecclesiae” testifies it to be the ground of the Reformation.
From this view point this paper describes the critical thoughts of the Reformers on the sacramental automatism and the doctrine of transubstantiat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comparing the Reformers’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presence of Christ in the Holy Supper of the Lord. In addition, it provides the 20th century church’s theological approaches towards the mutual reconciliation and communion.
목차
I. 세계사적 사건으로서의 종교개혁: 종교개혁자들의 성례론의 역사적 배경
II. 칭의론이 종교개혁의 기폭제였던가?
III. 말씀과 믿음 없는 성례는 무의미하다: 가톨릭교회의 성례 자동주의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입장
IV. 그리스도의 임재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과 종교개혁자들의 비판
V. 그리스도의 임재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이해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 칼럼]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의 역사 인식
- [특집 대담] 국내 첫 여성 조직신학 박사 박순경의 신학과 인생
- 마르틴 루터의 공공신학 사상
- 한국 기독교의 정치사(VI): 민청학련 사건에서 궁정동까지
- 한국의 보수와 진보
- 자유와 관용: 종교개혁의 목적지 - 이동희, 『꺼지지 않는 불, 종교개혁가들』(넥서스CROSS, 2015)
- [편집후기] 국민의 분노와 대통령 탄핵 사이에 종교개혁 500주년을 준비하면서
- 종교개혁운동의 시발: 마틴 루터의 개혁운동
-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사상의 특징
- 칼빈의 정치·경제 사상
- 급진적 종교개혁가들: 기독교평화주의 운동의 역사적 모델로서 아나뱁티스트 운동과 그 사상
- 종교개혁자들의 성례론
- 신(神)의 두 가지 자기계시(自己啓示)에 나타난 그 신의(神意)
- 한국교회 정체성 회복 방안: 신학적 측면에서
- 기독교: 기쁨의 종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