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천부경>의 논리적 구조와 인간학적 함의

이용수  0

영문명
Logical structure and anthropological implications of Cheonbugyeong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유철(Chul You)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12권 1호, 75~11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천부경>은 인류의 시원 경전으로 평가된다. 여러 전수과정과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고 있으며, 고서古書의 기록에서도 그 흔적은 찾아볼 수 있다. <천부경>의 판본을 비교해볼 때 그 각각이 구전口傳되면서 전해진 흔적이 있고, 실체가 문서로 남아있어 사실성을 의심하기는 어렵다. <천부경>은 총 81자의 함축된 내용이면서 본문 중간중간에 숫자가 31개나 포함되어 있어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천부경> 연구자들은 <천부경>이 하늘과 땅과 사람에 대한 가르침이라는 것에는 동의하고 있다. 논자는 비록 짧은 내용의 글이지만 그 속에서 <천부경>의 논리적 구조와 정합성을 분석해서 <천부경>이 대단히 논리적으로 완성된 내용을 가진 경전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천부경>은 첫 글자 1에서 마지막 글자 1에 이르기까지 수미일관首尾一貫된 논리로 완벽한 정합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비록 천지인 삼재三才를 모두 다루고 있으면서도 그 핵심 가르침은 인간의 본질과 역할에 두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천부경>에 포함된 숫자 중에서 1(일자一者 혹은 일신一神)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그 1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천부경>을 이해하데 매우 중요하다. 논자는 그 1의 의미를 형이상학적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그 1이 인간의 본질이나 역할을 규정짓는 단서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결과적으로 <천부경>은 1의 철학이며, 그 1은 가장 근원적 존재근거이면서 가장 완성된 존재로서 인간을 동시에 가리키고 있음을 논증하고 있음이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자의 결론은 <삼일신고>가 <천부경>의 주석이라는 판단으로 나아가고, 다음 연구의 주제로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상호 비교가 필요함을 깨달았다. 왜냐하면 <삼일신고>의 핵심 주제 역시 인간이기 때문이다. 논자는 그 과제가 곧 완수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is evaluated as the original scripture of mankind. There are various transmission processes and various editions, and traces of them can be found in the records of ancient books. When comparing the editions of , it is difficult to doubt its authenticity as each of them has traces of being passed down orally and the substance remains in written form. contains a total of 81 characters and contains 31 numbers in the text,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 accurately. Nevertheless, most researchers agree that is a teaching about heaven, earth, and humans. Although it is a short text, I tried to analyze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sistency of and show that is a scripture with very logically completed cont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as perfect consistency with a consistent logic from the first letter to the last letter.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although it deals with heaven, earth, and humanity, its core teachings are centered on the nature and role of humans. Among the numbers included in , 1 ( the One一者 or One god一神) appears most often, and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number 1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 While analyzing the meaning of 1 metaphysically and ontologically, I confirmed that 1 is a clue that defines the essence or role of human beings. As a result,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 great achievement in that it argues that is a philosophy of 1, and that 1 simultaneously point to humans as the most fundamental basis for existence and the most complete being. My conclusion is that is a commentary on , and I realized that a mutual comparison between and is necessary as the subject of the next study. This is because the core theme of is also humans. I hope that the task will be completed so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천부경>의 전래와 판본비교
Ⅲ. <천부경>의 구조와 천지인天地人
Ⅳ. <천부경>의 인간관
Ⅴ. 맺는 말 :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철(Chul You). (2025).<천부경>의 논리적 구조와 인간학적 함의. 세계환단학회지, 12 (1), 75-112

MLA

유철(Chul You). "<천부경>의 논리적 구조와 인간학적 함의." 세계환단학회지, 12.1(2025): 75-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