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영유아 심리적 변인을 통한 세대교류공간의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connectivity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s Through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and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최지현(Ji Hyeong Choi) 최연숙(Yeong Suk Choi)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6호, 97~10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핵가족화 및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세대 간의 단절과 고립에 대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세대층인 노인과 영유아 간의 세대교류에 대한 필요성을 다루었다. 노인과 영유아의 관계 심리 요소 분석을 통해 세대교류와 관련된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 우리나라가 직면한 심각한 수준의 저출산과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사회에 대한 지속적이고 중장기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외에서는 노인과 영유아의 관계 심리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세대 간 상호교류를 촉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과 세대 교류센터, 노유복합시설 등이 신체적, 사회적 발달과 더불어 심리적 안위 증진에 긍정적 영향이 입증되었고, 세대 간 단절을 예방하고, 선입견을 해소하는 등 사회계층 간의 이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시도가 꾸준히 있어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외 건축학, 심리학, 간호학적 측면의 다양한 연계 논문을 바탕으로, 노인과 영유아의 심리적 특성과 함축된 속성을 분석하여 인간 상호적인 세대 간 관계 심리 측면의 일치되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및 공간의 관계성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세대교류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가족의 인식, 세대교류 공간을 활용 시 선호 프로그램 및 요구되는 공간 유형 등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국외 사례를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노인과 영유아의 세대 간 심리적 안위를 증진할 핵심요소를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을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효과적인 세대교류 공간의 상호 연계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infants as a response to the increasing isolation and disconnection among generations due to the rise of nuclear families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infants, this research explores the spatial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Given South Korea's serious low birth rate and rapidly aging society, this study aims to propose sustainable and long-term solutions. Internation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various programs, intergenerational exchange centers, and elderly-infant integrated facilities contribute positively to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efforts have also helped prevent generational disconnection, break stereotypes, and address social disparities.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from architecture, psychology, and nursing, this study analyze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nderlying attributes of both elderly and infants to derive shared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spaces, assessing social and familial perception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eferred programs, and required spatial typ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extracts key element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both generations and presents feasible strategies. Ultimately, it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tergenerational spaces with strong interconne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관계심리분석을 통한 세대교류공간의 상호 관계성
Ⅳ. 세대교류공간 사례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 범주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가 혼합된 시계열 데이터 예측 기법
-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Generative AI Framework 기반 멀티모달 가전 AI 레벨 규명 및 설계 원칙 제안 - 세탁기 사례를 중심으로
- 비전 기반 멀티태스크 학습을 위한 연합학습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 Toward Clinically Trustworthy Alzheimer’s Diagnosis: Combining EfficientNetV2B0 and XAI Techniques for MRI Analysis
- 고령화 사회와 고령 사회의 고독사 담론 변화 분석: 뉴스 기사 기반 텍스트 및 네트워크 분석
- 소형 언어 모델의 특정 도메인에서의 파인튜닝과 RAG의 성능 비교 - 질의응답과 감정분석을 중심으로
- HPC 환경에서 Athena++ 시뮬레이션 코드 GPU 병렬화 및 성능 최적화 연구
- 한국형 OTT 시리즈 콘텐츠 <수리남>의 서사 특성 연구 - 8시퀀스 3막 구조 특성을 중심으로
- LLM 시스템을 활용한 NPC 내러티브 생성 연구
- 노인-영유아 심리적 변인을 통한 세대교류공간의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