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무역 규범의 변화와 주요 국가별 협정 반영 수준 분석 - TAPED DB 기반 비교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s in Digital Trade Provisions and Their Reflection in Major Countries’ Trade Agreements :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TAPED Database
- 발행기관
-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 저자명
- 문영수(Young-Soo Moon)
- 간행물 정보
- 『해양비즈니스』제61호, 3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tructure and adoption levels of digital trade rules that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recent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Utilizing the TAPED database, which compiles provisions related to electronic commerce and data in major regional trade agreements since 2000, the study examines eight core issues in digital trade—namely, cross-border data flows, prohibition of source code and algorithm disclosure, data localization, privacy protection, e-payment and authenticati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intech. It evaluates the evolution of these provisions over time and classifies them by legal strength (hard law vs. soft law). A comparative analysis is also conducted for six key countries: Korea, China, Japan, Australia, New Zealand, and Singap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adoption of hard law provisions has accelerated since the mid-2010s, particularly in agreements such as the DEPA and CPTPP. While Korea exhibits a high level of digital infrastructure, its adoption rate of hard law provisions remain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d institutional alignment and agreement structure. This research provides empirical insights for Korea’s digital trade policy and suggests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responding to future digital trade environm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무역 규범의 이론적 배경
Ⅲ. 디지털 무역 규범의 변화
Ⅳ. 디지털 무역 규범 쟁점과 국가별 반영 수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