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U-Net 기반 Waterline추출 자동화 및 해안선 추정
이용수 0
- 영문명
- Automated Waterline Extraction and Shoreline Estimation Using U-Net Based Video Monitor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연안방재학회
- 저자명
- 이창율(Chang-yul Lee) 도기덕(Ki-deok Do) 장성열(Sung-yeol Chang) 김인호(In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연안방재학회지』제12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astal erosion has caused significant ecological damage and substantial social and economic losses,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long-term monitoring of shorelines. Video monitoring systems have emerged as effective tools for observing shorelines changes. However, the shoreline extracted from video monitoring systems represents the waterline, defined as the boundary where waves reach the beach. The extraction of waterlines using these systems often requires manual parameter adjustments to account for dynamic coastal environments. Furthermore, the extracted waterline is influenced by variations in waves and currents, posing challenges for consistent and reliable monitoring.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utilizes the deep learning model ‘U’-shaped Neural Network (U-Net) to analyze images of Chuam Beach. A dataset comprising 204 pairs of Time-exposure (TimeX) images was developed to train the U-Net model, which was subsequently utilized to propose an automated method for waterline extraction. Using the extracted waterlines, the beach slope was calculated, enabling the estimation of a tide-based shoreline unaffected by wave and currents variations. Comparative analysis with UAV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shoreline data revealed a maximum vertical error of 0.18 m for the waterline and 0.27 m for the shoreline, demonstrating high accurac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Net model effectively and accurately detects waterlines, while the proposed shoreline estimation method ensures consistent monitoring of shoreline changes, including advances and retreats.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연구 지역 및 데이터 취득
3. 해안선 추출을 위한 모델 설계
4. 해안선 추출 과정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1호 목차
- 세굴 방지용 인공 매트 설계에 따른 유속 저감 검토: 전산유체역학 모델 활용
-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U-Net 기반 Waterline추출 자동화 및 해안선 추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