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and needs of high school about mathematics subjects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선희(Sun Hee Kim) 임해미(Haemee R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8권 제1호, 27~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라 고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편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이슈와 현장의 요구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전국의 일반고와 특성화고를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고에서는 공통 과목과 일반 선택 과목을 대부분 편성하고, 특성화고에서는 공통 과목 위주로 편성이 되었으나 두 학교 유형 모두 개설 학점 평균이 4학점 미만이었다. 교육과정 편성 시 편성 기준, 어려움, 학생들의 과목 선택 예상, 과목 편성 후 우려 사항, 고교학점제에서 수학 교사들의 예상되는 어려움, 공동 교육과정에서 수학 과목의 어려움, 교사 수급 문제 및 학생들을 위한 수학 과목 선택 안내 필요 사항, 수학 과목 편성과 운영을 위한 정책 등에 대한 설문 결과를 학교 유형별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 과목의 4학점 확보, 교사들의 과목 이해를 위한 연수, 학생을 위한 안내 자료, 성취평가제의 원활한 운영, 교사 업무 부담 축소 방안, 공동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산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운영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sampled high schools nationwide to analyze how the school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what issues were caused by it. In general high schools, most of the common and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organized, and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common subjects were organized. The average credits both types was less than 4 credits.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the issues such as the standards for organization, difficulties, students' expectations for subject selection, concerns after curriculum organization, expecte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teachers, problems in mathematics subjects in the joint curriculum, teacher supply and demand, requirements for guidance on selecting mathematics subjects for students, and policie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mathematics subjects were re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on securing 4 credits for mathematics subjects, training for teachers to understand new subjects, deveopment of guidance materials for students, smooth oper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system, ways to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assessment in the joint curriculum, and ensuring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 Speaker familiarity and affective involvement: Insights from the Santa Barbara Corpus
- Exploring ChatGPT usage purposes and profiles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