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차에 의한 신체 계측치와 혈액 지질 수치가 지방간 등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
- 영문명
- Effects of Gender-Specific Differences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Lipid Levels in Fatty Liver Grade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성열훈(Youl-Hun Seou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1호, 55~6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차에 따른 차이에 따라 신체 측정치와 혈중 지질 수치가 지방간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20년 8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청주에 있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643명(남자 928명, 여자 71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신체 측정치와 혈중 지질 수치를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고, 초음파로 진단한 지방간 등급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예측인자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은 나이,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허리둘레가 지방간 질환의 유의한 예측인자였으며, 나이, 중성지방, 허리둘레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중성지방과와 허리둘레가 주요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수신자조작 특성 커브 분석 결과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중성지방과 허리둘레의 곡선하면적 값이 높아 지방간 질환의 예측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남성의 허리둘레 절단점은 82.6 cm에서 93.8 cm 사이였고, 여성의 경우 76.6 cm에서 86.9 cm 사이였다. 이 연구는 성차에 따른 신체 측정과 혈액 지질 수치를 사용하여 지방간 질환에 대한 비침습적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body measurements and blood lipid levels on the fatty liver grade by gen- der-specific differences. The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1,643 individuals (928 men, 715 women)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a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Cheongju from August 2020 to October 2022. Body measurements and blood lipid level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fatty liver grades diagnosed by ultrasound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 ble to develop the predictive factors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for men, age, trigly- cerides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and waist circumference (WC)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atty liv- er disease, with age, TG, and WC having a substantial impact. For women, TG and WC emerged as the main predictor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demonstrated high area under the curve (AUC) values for WC and TG in both men and women, confirming their importance as predictive indicators for fatty liver disease. The WC cut-off points for men were between 82.6 cm and 93.8 cm, while for women, they were between 76.6 cm and 86.9 cm. This study suggests a non-invasive predictive model for fatty liver disease using body measurements and blood lipid levels by gender-specific difference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디지털 맘모 디텍터 성능평가를 위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용 ACR 팬텀 작성에 관한 연구
- 관상동맥 조영영상에서 라플라시안 필터와 고속 비지역적 평균 알고리즘의 유용성 평가
- ICRP 메시형 표준 전산팬텀의 물리모델에 의한 흡수선량 계산
- 성인 남녀 메쉬형 참조 계산 팬텀을 이용한 거리와 위치 변화에 따른 99mTc 방사성 핵종에 의한 장기별 흡수 선량 평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3D 다세포 모델 내 매질에서 0.1 MeV 중성자빔 조사에 따른 흡수선량 평가
-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ACR 팬텀을 이용한 품질평가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 성차에 의한 신체 계측치와 혈액 지질 수치가 지방간 등급에 미치는 영향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ttention UNet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병변 분할: IoU, Dice, Accuracy, F1 Score 기반 개별 모델 평가
- 방사선사 맞춤형 조영제 정맥주사 교육과정 개발
- 초박편 방사선 차폐재의 납당량 산출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