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7 세계청년대회(WYD)와 복음화: 맥락과 사명
이용수 24
- 영문명
- 2027 World Youth Day and Evangelization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우선(Denis Woo-Seo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48호, 5~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2027년 서울 세계청년대회(WYD)가 단순히 잘 조직된 행사가 아니라, 복음화 관점에서 준비, 진행, 후속 과정까지 반영되어야 성공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2027 WYD를 맥락화하고자 세속화와 복음화, 순례와 공 동체 경험, 가톨릭 세계시민 의식의 관점에서 조망한다. 또한 탈유럽중심 세계교회의 전 환 과정에서 한국교회가 서양과 동양, 북반구와 남반구 교회를 잇는 다리 역할을 강조한 다. 이런 배경에서 한국교회는 변방 교회의 역사적 모델, 화해와 평화의 상상력, 생태적 회심의 메시지로 세계교회에 기여할 수 있다. 동시에 WYD는 한국교회에 가톨릭 세계시 민 의식 함양, 조직문화의 업데이트, 청년 리더십 양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envisions the 2027 World Youth Day (WYD) in Seoul as a success not only through effective organization but also deep evangelization, inspiring Korean and global Catholic communities to address contemporary challenges. It explores the 2027 WYD’s significance within global and ecclesial contexts, emphasizing innovative evangelization, experiences of communitas, and fostering Catholic global citizenship. Hosting WYD in Korea positions the Korean Church as a bridge between East and West and Global South and North, shifting away from a Eurocentric Church. The Korean Church can model outreach to the periphery, promote peace and reconciliation, and highlight ecological conversion. WYD can also benefit the Korean Church by fostering Catholic global citizenship and youth leadership and updating its organizational culture. The article concludes by advocating a contemplative approach to WYD preparation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2027 WYD의 맥락
3. 2027 WYD와 한국교회
4. 나오는 말: WYD에 필요한 관상적 태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48호 목차
- [특집] 2024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추계 심포지엄 K-WYD와 한국 청년: 청년들의 제안과 나눔
- 온라인 교회의 온라인 사목 방안 모색: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과 코로나19 이후 신앙생활과의 관계에서 방송·온라인 미사의 매개효과 분석을 토대로
- 교회의 정화(Purificazione)를 위한 청년 그리스도인의 역할 - 서울 WYD 2027을 준비하는 한국 천주교회 청년 사목의 방향에 관한 연구
- 교회 통치 기능의 보완(전문성, 객관성, 능동성)에서 시노달리타스와 교회법
- [특집] 2024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추계 심포지엄 WYD와 한국 MAGIS
- 철학적 신론과 신학적 신론의 연속성 - 『신학대전』제1부의 신론에 대한 하나의 고찰: ‘이성의 인식행위’에 주목하여
- 생태 평화와 통합 생태론: 평화 구축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영적 휴머니즘: 길희성의 일원론적 형이상학에 관한 고찰
- 『오리게네스의 아가 주석』에 나타난 ‘영성 주제어’ 연구
- 한국 교회와 청년 사목 - 청년 세대의 현실과 사목적 전망, 그리고 WYD를 향한 제언
- 2027 세계청년대회(WYD)와 복음화: 맥락과 사명
- 아시아권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천주교의 특징 - 그리스도교의 인도, 일본, 중국, 베트남 전래와 전교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