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이용수 138
- 영문명
- The Impact of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y on Well-Being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여주(Yeoju Chung) 김미림(Mirim Kim) 김지영(Jiyoung Kim) 최민아(Minah Choi) 윤나래(Narae Yoon) 이문수(Moonsoo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339~3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000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R, 우울 및 웰빙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변인인 현저성과 조절력상실, 매개변인인 우울, 그리고 종속변인 웰빙을 두고 분석한 측정모형의 확인적요인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변인인 현저성과 조절력상실이 우울을 매개로 하여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은 통계적으로 타당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의 문제적결과와 웰빙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래핑 실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웰빙 증진을 위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마련과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일어나는 우울의 감정 조절을 위한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ir well-being.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1,000 adolescents by measuring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R, depression (PHQ-9), and well-being (WHO-5 Well-being index).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which included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ub-factors of salience and loss of control,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well-being as the dependent variable, demonstrated statistical validity.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salience and loss of control, as sub-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Third,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analysis confirmed that dep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 consequence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approaches to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y among adolescents to enhance their well-being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manage depressive emotions caused by smartphone over-dependen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청소년복지연구
- 교육부 보도자료
- 서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박사학위논문
- 이화간호학회지
- 사회과학연구
- 상담학연구
- 상담학연구
- 한국자치행정학보
- 청소년시설환경
- 사회과학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서울
- 청소년학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 대한불안의학회지
- 인간이해
- 청소년학연구
- 석사학위논문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운동과학
- 사회과학논집
-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 교육치료연구
- 청소년문화포럼
- 인문사회21
- 사고개발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상담학 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상담학연구
- 사회과학연구
- 청소년학연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청소년 복지연구
- 서울
- 상담학연구
- 문화와 융합
- 한국경찰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서울
- 서울
- 서울
- 서울
- 서울
- 서울
- 석사학위논문
- American psychologist
- Frontiers in Psychology
-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 Journal of Substance Use
-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ddiction
- Psychological bulletin
-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Bmj
- Harvard University Press
- PLOSONE
-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BMC Psychiatry
- PLOSONE
- Psychiatry research
- Przestrzeń Społeczna (Social Space)
- Behavioral Science
- Jama
- Chin. J. Sch. Health
-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 Addiction Research & Theory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