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시경제 변동과 경매시장 변수가 서울시 경매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8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Macroeconomic Fluctuations and Auction Market Variables on Seoul City Auction Winning Bid Rates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박연서(Yeon Seo Park) 권대중(Dea Jung Kwa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4호, 251~2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매시장에서의 낙찰율은 낙찰가율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어 경매건수의 증가가 낙찰가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본시장의 소비자물가 증가는 경제심리지수에 긍정적인 반응과 낙찰가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금리의 상승이 낙찰가율의 상승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금리인상 시기에 많은 경매물건이 시장에 나옴에 따라 저평가된 주택을 저비용으로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많아질 수 있고 금리인상 시기는 경제침체를 벗어나 회복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어 낙찰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시경제변수를 이용한 분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괄적인 개념을 다루기 때문에 단기간에 변화하는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포괄적인 변수의 도출과 파생변수의 생성이 필요한 상황이며 부동산정책과 연결한 심도있는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문 초록
The increase in consumer prices in the capital marke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sentiment index and the successful bid rate, but the effect i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fact that an increase in interest rates can cause an increase in the successful bid rate means that when many auction items are put on the market during the period of interest rate hikes, there may be a temporary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trying to purchase undervalued houses at a low cost, and the period of interest rate hikes can be perceived as a signal of recovery from economic recession, which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bid rate.
However, analysis using the economic variables has the disadvantage of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that change in the short term because it deals with comprehensive concep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comprehensive variables that affect the market and create derivative variable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analysis linked to real estate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경매시장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Time Series Prediction of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Using Machine Learning
- 주택매매 소비심리가 주택 매매 및 경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아파트 시장을 대상으로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 COVID-19 확진자 사망률에 따른 동태적 변화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Digital Asset and Real Estate Market Environment
- 수도권 내 400m 트랙 스케이트장 건립의 적지 분석: 지리 정보 시스템 기반의 다기준 의사결정
- 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한 인구변화와 주택가격의 인과성 분석
- 주택가격 변동의 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및 분기점 분석을 중심으로
- 부동산 뉴스로 인한 심리적인지 요인이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 인천광역시 연립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 물리적 주거환경이 중년기 성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이산시간 접근법과 연속시간 접근법에 의한무 재정가격 이론 고찰
- 거시경제 변동과 경매시장 변수가 서울시 경매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PF 리스크 요소별 중요도 평가
- 지방도시의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역할
- 청년 1인 가구의 임대주택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