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rt Education Using VR 360 Camera - Focused on the Cultural Heritage Art
- 발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저자명
- 주윤(YUN ZHU) 김현태(Hyun-Tae Kim)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논문지』제29권 4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적 측면에서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함이다. 본 연구는 예술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VR 360 영상을 학생 만족도 및 수업 효율성 측면에서 활용한 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첨단 기술을 이용한 예술 수업은 학습자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약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공통으로 수업에 대한 효율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앞으로의 예술과 관련된 학습에서 VR과 같은 첨단 기술의 활용이 요구되며, VR 외에도 다양한 첨단 기술을 통한 학습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첨단 기술 발전에 발맞춘 형태의 학습을 통해 전통적인 예술 형태와 학습 방법보다 더욱 생동감 있는 교육이 가능하며, 현실적으로 학습 참여에 어려움이 있는 참여자들 역시 현실적 제약을 극복한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 dance lesson plan utilizing VR 360 cameras and apply it with actual dance class participant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dance education using VR 360 cameras (student satisfaction and class efficiency).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assessed the impact of VR technology on dance learning outcomes. I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la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by gender, ma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in both cla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y grade level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in cla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with higher grades generally reporting higher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ased on the duration of instruction indicated that class efficiency varied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instruction, with those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instruction showing the highest satisfaction.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art education develop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various advanced technologies in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9권 4호 목차
- 드론 영상 활용 딥러닝 기반 피플 카운팅 알고리즘 개발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소형 선박용 전기 추진체인 고효율·고토크용 다상 BLDC 모터 설계에 관한 연구
- 주성분 분석 기반 법선 벡터 추정을 통한 드론 착륙 지점 탐지 기법 연구
- VR 360 영상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전통 가면무 교육영상을 중심으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물류기업 ESG 공시가 기업의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압력 조건 변화에 따른 수소 압력 용기의 균열 거동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 Aryl-2-Thioxo-4-Thiazolidinone 화합물의 HIF-2α 저해 활성
- 메탄-산소 연소에서 침입공기의 위치 및 유량이 NO x 배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3D 형상의 자동차 도어트림(Door Trim)을 인식 재봉하는 로봇 설계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영상 기반 드론 및 UAM 비상 착륙 알고리즘 개발
- 감마방사선 조사 후 버섯류 - 마늘 혼합 추출물이 염증 반응 및면역 회복에 미치는 영향
- 2-Arylbenzimidazole 유사체들의 HIF-2α 저해 활성
- 웨어러블 신축성 전자소자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경화 방해물질 확산 기법 연구
-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이 C2C12 세포의 mTOR 매개 근육 분화에 미치는 영향
- 패치 구조를 이용한 D-Band(140 GHz - 160 GHz) 대역 도파관-마이크로스트립 변환기의 광대역 설계
- 앙트러프러너십, 직업미래시간관, 조직변화지지행동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 Creativity studies
- Teachers and Teaching : theory and practice
- Search article of this journ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Technology
-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 Journal of Culture & Design
- Journal of Korea Enter- 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Jounrnal of digital ddesign
-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스케일링 교육경험 및 치과위생사의 태도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