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취평가제 실시가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 방안
이용수 87
- 영문명
- Effects of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on College Admissions and Recommended Address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태훈(Taehoon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1집, 181~2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8학년도부터의 고교 내신성적 산출 방법은 성취평가제와 석차 5등급제 의 병기로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병기 방안은 절대평가에 대한 교육적 이상과 대입 현실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향후 언젠가는 고교 내신성적 산출 방법으로 성취평가제가 단독으로 전격 실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향후 성취평가제의 완전한 실시가 대학 입시에 미칠 영향에 대해 교육 이해관 계자에 대한 FGI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성적 부풀리기와 일반고 학생의 불이익 등 예상되는 부정적 문제에 대한 대책을 교사 평가 전문성 개발, 외부평가 실시 그리고 인공지능 학습 이력 활용 등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Starting from the 2028 academic year, the method for producing high school academic grades is scheduled to combine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with the 5-level rank system. This hybrid approach serves as a transitional measure to balance the educational ideals of absolute evaluation with the realities of college admissions. Therefore, at some point in the future,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exclusively for producing high school academic grad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on college admissions through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ducational stakeholders. Then, potential solutions to anticipated negative issues were explored, such as grade inflation and disadvantage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enhancing teachers' assessment expertise, implementing external evaluations, and utilizing learning histo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1집 목차
-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교육학 교과목의 타당성 검토와 선택 활성화 방안 연구
- 초등교사의 디지털 활용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대구교육종단연구를 활용하여
- 트롤리 문제를 활용한 가치 토론 교육 전략
- 예비교원의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플립드러닝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모형 개발: 지속가능한 「생태ㆍ환경윤리」 수업을 중심으로
-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호: Kelly의 모형을 중심으로
- 네러티브에서 어휘 다양성, 동사 유형과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
- 검정 초등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 역량 분석
- 예비 영어교사의 다독 기반 주목하기(noticing)를 통한 문법 학습의 양상 및 인식
-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 성취평가제 실시가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 방안
참고문헌
- 연구보고
- 새교육
- 교육연구
- 내일신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 연구보고
- 열린교육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 한국교육신문
- 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 교육평가연구
- 연구보고
- 교육과정평가연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 교육부
- 한국교육신문
- 교육언론[창]
- 연구자료
- 교육과정평가연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 뉴스
- 교육과정평가연구
- 교육광장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 제19회 KICE교육과정․평가 정책포럼 자료집
- Position Paper
- 교육과정평가연구
- 서울
- 서울
- 교육문제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에듀인뉴스
- 연구자료
- 연구자료
- 연구보고
- 전자신문
- 경향신문
- 에듀인뉴스
- Frontiers in Education
- London
- Phi Delta Kappan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