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i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박혜인(Hey-In Park) 조규판(Gyu-Pan Cho)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6권 제2호, 200~22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 및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에서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 정서표현성 및 인지적 유연성,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정서표현성, 인지적 유연성, 학교행복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은 부분매개 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부분매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행복감에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작용을 하며, 정서표현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행복감 형성을 위해서는 정서표현성과 긍정적 인지적 유연성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인 외적인 가정, 학교, 사회적 차원에서 적절한 멘토링 체계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6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and school happiness. Baron and Kenny's (1985)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pressivity, cognitive flexibility, and school happiness. Second,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Third, cognitive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hool happiness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a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 교육으로서의 RIE 접근법 이해: 은유분석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계열 전공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평가 방안 고찰 : 루브릭 평가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요구분석
- 서비스러닝 기반 활동이 예비 유아교사의 교수기술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
- 신중년의 발달과업 재개념화를 위한 예비적 탐색: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중심으로
- 중학생 또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 의미와 교육적 함의 탐색
- 부모의 학교참여와 아동의 학교적응 관계에서 아동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놀이중심보육과정 실천역량에 따른 창의적 교수역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중국인 박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과 문화 제6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 한국청소년연구
- 학지사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심리연구
- 아시아문화학술원
-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사회과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교육과 문화
-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Human Ecology Research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지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영과 정보연구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과 문화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Basic Books
- Harper and Row Publishers
- Psychosomatic Medicine
- Thomson Wadsworth
-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 American Psychologist
-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 Journal of Adolescence
- Psychological Assessment
- Dordrecht: Springer
-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 Dude Press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