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SI를 활용한 학교급별 교사 소진 관련 변수 비교
이용수 177
- 영문명
- Comparison of Predi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by School Level via Post-Selection InferenceComparison of Predi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by School Level via Post-Selection Infer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성민(Sungmin Lee) 유진은(Jin Eun Yoo)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4호, 717~75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대규모 교육 데이터를 탐색하고 학교급별로 교사 소진과 관련된 변수를 조사하는 것이다. 모든 학교급에 대하여 개인, 조직, 사회 측면의 변수를 포괄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서울교원종단연구(2020) 1차년도 데이터를 변수선택 후 추론(PSI) 기법으로 100회 반복 모형화하며 학교급별 소진 관련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교사 경력, 학생의 지능 발달 가능성에 대한 고정 신념 등은 모든 학교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부모 상담 업무 부담 변수는 초등학교에서만, 학교 소재 지역의 경제 수준 변수는 중학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선택되는 등 학교급별 차이도 존재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rge-scale educational data with penalized regression, and to investigate significant predictors to teacher burnout by school level.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encompassing and analyzing teacher-related variable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levels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pecifically, the Seoul Teachers Longitudinal Study (2020) 1st wave data was analyzed via Post-Selection Inference (PSI). After 100 iterations of PSI modeling, significant predictors were compared across school levels. As a result, predictors including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fixed mindset on students’ intelligence development potential were commonly selected across all school levels. Meanwhile, predictors of parental counseling duties and the economic level of the school location were selected only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respectively. Policy recommendations to effectively address teacher burnout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한국교육포럼
- 교육행정학연구
- 교육문화연구
- 수산해양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교원교육
- 아시아교육연구
- 교육학연구
- 교육사회학 연구
- 교육과학연구
-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아시아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도덕윤리과교육
- 교육연구논총
- 교육심리연구
- 한국 교육
- 교원교육
- 중등교육연구
- 교육연구
- 교육상담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 시민교육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교사교육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아동교육
- 한국교육포럼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 사고개발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아시아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 학생지도연구
- 교사혁신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한국교사교육
- 교육연구논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열린교육연구
-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Free Press
-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Springer
- The Annals of Statistic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 R package version 1.2.5
- Frontiers in Psychology
- Frontiers in Psychology
- In M. S. Khine (Ed.), Machine learning in educational sciences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