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 및 과제 분석

이용수  268

영문명
Analysis of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Lifelong Educator Training at Universities
발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저자명
박호근(Hokun Park) 이자형(Jahyeong Lee)
간행물 정보
『대학연구』제3권 제2호, 15~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각 기관에서 양성하고 있는 평생교육사 배출현황을 살펴보고, 대학 차원에서 평생교육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제공하는 2023년도 교육통계서비스 데이터 및 기타 문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학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을 중심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를 양성하는 총 179개 기관 가운데 고등교육기관은 145개 기관으로 81%를 차지했으며, 2019년~2022년 동안 전체 인원수 대비 약 61.0%(16,380명) 정도가 대학의 정규교육과정을 통해서 평생교육사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 차원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을 대학(원) 과정과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과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일반대학의 경우에는 전체 대학교 가운데 약 42.3% 정도가 평생교육사를 양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전체 가운데 약 2.87%인 12곳에서 학점은행제로 평생교육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6개 대학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교과목 편성 사례를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비교해 본 결과, 실천 영역 교과목으로는 ‘성인학습 및 상담’, ‘청소년교육론’, ‘노인교육론’이 주로 편성되고 있었으며, 방법 영역 교과목으로는 ‘기업교육론’, ‘인적자원개발론’, ‘교육공학’이 주로 제공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성을 지닌 평생교육사 양성을 위해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양성과정을 수립해야 하고,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확대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ertified lifelong educators educated at various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it aims to identify the tasks required at the university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felong educator professionals.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3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provided by KEDI and other relevant literatur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otal 179 institutions that train lifelong educator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ounted for 145, representing 81%.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61.0%(16,380 individuals) of all certified lifelong educators between 2019 and 2022 obtained their certification through regular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Second, approximately 42.3% of general universities were engaged in training lifelong educators. In contrast,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ccounted for only about 2.87%(12 institutions) that offered lifelong educator training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Thir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ctive courses offerings in the lifelong educator training programs at six universities showed that, in the practice domain, courses such as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Youth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Elderly' were predominantly included. In the methods domain, courses like 'Corporate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Technology' were primarily offer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future tasks required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대학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Ⅲ. 평생교육사 양성 기반 및 양성현황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호근(Hokun Park),이자형(Jahyeong Lee). (2024).대학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 및 과제 분석. 대학연구, 3 (2), 15-33

MLA

박호근(Hokun Park),이자형(Jahyeong Lee). "대학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 및 과제 분석." 대학연구, 3.2(2024): 1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