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ntion to Use SNS Tourism Information Applying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cusing on Tourism Information Qual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임명재(Myoung Jae Lim)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2권 제5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 관광정보의 기술수용 과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SNS 관광정보의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하여, SNS 관광정보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통해 태도를 형성하고, 태도가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SNS 관광정보 품질을 새로운 변수로 활용하여, 정보품질이 기술수용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해 온라인을 활용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254부의 유효표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SNS 관광정보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태도는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보품질 변수를 활용한 SNS 관광정보의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조사대상의 특성과 연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of SNS tourism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urpose is to effectively utilize SNS tourism information. In the stud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is applied. The research model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 attitudes, and attitudes affect intention to u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empirical research, and 254 surveys were used for the study. By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SNS tourism information quality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found to affect attitudes. Fourth, it was found that attitude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of SNS tourism information. And It was found that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ere necessar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SNS 관광정보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정보 품질을 중심으로
- 시니어 마케팅 전략: 포용적 유니버설 마케팅 프레임워크를 통한 전략적 방향 제언
- 백화점 팝업 스토어에 나타나는 체험 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 더현대 서울 중심으로
- 성별, 지각된 소비가치 유형이 밀키트 제품의 추천 및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명인과의 관계 지속과 단절에 대한 연구
- SNS를 활용한 실시간 시청자 의견 반영 방송 콘텐츠가 시청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Factors Affec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the Context of an Art and Science Program Integra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Bass 확산 모형을 기반으로 한 템플스테이 수요 예측
- 항공사의 ESG 경영이 진정성, 기업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가맹본부의 리더십이 가맹점의 관계결속(꽌시)과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국 식·음료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 브랜드 이미지가 만족,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와인 브랜드를 중심으로
- 푸드 업사이클링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차이 분석: 지각된 위험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