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Film and Visual Arts for Busa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유영명(Yung-Myung Yoo) 김형빈(Hyung-Bi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6권 제4호, 237~2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영화의 산업적 측면에서 2000년 들어와 다양한 변화 중에 하나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나타난 지역 영상산업의 구축을 위한 시도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동일한 시기에 한국영화에 있어 나타난 산업화의 가능성에 따른 영화를 둘러싼 주변 환경의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실제로 그 이전 영산산업을 논할 때는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가능성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인력과 자본 그리고 관련 인프라가 거의 서울에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산업 역시 예외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나 문화적으로 한국이라는 제한된 영화시장의 규모 자체가 서로 나눠 갖기엔 시장이 너무 작다는 인식이 지배적 이였기에 각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고착화될 것 같던 상황이 몇몇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특성화된 지역발전이라는 가치아래 서서히 변화의 가능성을 엿보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부산이다.
그동안 부산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적인 개회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산업이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서 처음으로 영화중심 도시로서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주요 영화영상 관련시설이 서울중심의 수도권에 편중되고, 이에 따른 국가 영상산업경쟁력 저하와 자원의 중복투자가 우려되는 시점에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영화산업에 대한 확고한 지원 의지는 향후 영화도시로서의 도시 이미지 제고와 중앙정부의 지역 특화 지원을 유도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특화산업으로서 영상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지역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지역차원에서 지역 영상산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과거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이러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다.
향후 제시될 지역산업 중장기 비전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영상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할 때 지역영상 산업육성정책은 연속성과 구체성을 지니는 차원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단순한 비전제시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력을 갖춘 로드맵 수립과 이에 근거한 투자우선순위 및 신규사업 선정이 가능하며, 지역전략산업의 지속적인 고부가가치화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이 지역전략산업으로서 영상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지역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영상산업의 정확한 현황파악과 성과분석으로 실질적인 영상산업 중장기 비전 수집을 위한 객관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산업을 대상으로 지역산업정책 평가의 기본적 틀을 제시하고 향후 지역경제 개선방향 도출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영화축제’ 중심적인 영상산업을 산업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상산업을 정보통신 및 관광산업 등 타산업과의 연계 등으로 미래지향적인 산업으로의 발전을 가져오는데 필수적이다.
영문 초록
The year 2000 may prove to be a watershed year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fledgling film industry with several significant accomplishment and local films making inroads in the korean marketplace. With the success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usan has started organizing Busan film community. As part of its continuing efforts in film industry development, Busan organised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bringing in film productions from Seoul and other countries.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is a civilian and government joint organization offering administrative support and all kinds.
Based on success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in Busan has grown the major industry that will lead the Busan economy. Before fostering the Film and Visual Arts as a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nd intensifying local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Regional Industry Road Map, we should consider evaluating whether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are effectively functioning in terms of Performance Maximization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research efforts aimed at estimating policy effec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Film and Visual Arts industry growth in Busan, sugge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ject and present a alternatives focusing on promotion strategy. This performance analysis lays emphasis on location quotient analysis(LQ) and Shift-Share Analysis. Especially, we set quantitative analysis standard and qualitative analysis standard with professional survey to consider possibility to develop growth potentiality for the region in the future as well as objective innovation capacity that the region carr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to settle a policy fostering the growth power industry for the local community development.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arrange the framework of various policies foster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영상산업 현황 및 전략
Ⅲ. 영상산업 성과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직몰입과 보상이 서비스 몰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关于韩国的企业城市建设及利用中华资本方案的研究: 以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事例为中心
- 녹색일자리 국제현황 비교와 한국 녹색뉴딜정책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민연금기금의 해외 투자를 위한 독일 증권거래의 행정규제와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로크와 루소 사상의 비교 고찰과 북한 인권
- 판별분석을 이용한 ERP시스템의 성과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조우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전달과정 요소에 관한 연구
- 부산 영상산업 성과분석과 육성방안
- 항공서비스의 불만요인이 전환의도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가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 Reflections o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in Russian Orthodox Culture and Dostoevsky's Religiosity: Centering on The Brothers Karamazov
- 무애차(無碍茶)의 현대적 행다법
- 미국 서브프라임 금융위기에 따른 EU 대응방안 및 시사점
- 공급함수를 이용한 수출보험의 경제적 효과 분석
- 고속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모바일 콘텐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