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Korea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and The Market Respons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변종국(Jong-cook Byun) 이희원(Hui-won Yi)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9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와 기업가치와의 관계는 상호 상반된 견해가 있다. 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는 제품의 혁신을 유도하여 기업가치를 높인다는 부가가치 자산론(value-added asset theory)과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은 이를 개선할 자기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기업의 비용을 증대시켜 수익성의 악화를 가져 온다는 이타적 자기책임론(altruistic liability theory)이다. 부가가치 자산론에 의하면 느슨한 환경기준을 원가절감과 관련시키는 것은 과장된 것이며 장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이 시장과 기업 특성변수에는 어떠한 반응과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표본기업은 2007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에 주식 가격에 대한 자료가 입수 가능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 공시일인 사건일 전후 각 50일 동안 주요공시가 없는 기업만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다음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기업으로 한정하여 선정하였다. 첫째, 온실가스배출 감축등록 사업의 단계 중 등록 완료된 기업의 주가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식 가격에 대한 자료가 입수 가능한 상장기업을 선택하였다. 둘째, 시장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정기간 동안의 일별수익률 자료가 충분히 확보되는 기업으로 한정하였다. 셋째, 사건기간 동안에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이 해당기업의 주가에 미치는 순수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건일 전후 각 50일 동안 주요 공시가 없는 기업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가능한 본 연구에서 분석하려는 사건 이외의 정보가 주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순수자료(clean data)를 표본으로 구성하였다. 상기의 표본 선정기준을 적용한 결과, 총 120개의 기업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초과수익률(AR)은 사건일 -8일, -4일, -3일, +4일, +10일, +16일에서 t값이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함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인 시장 반응 측면에서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이 특별히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5%의 유의수준에서 사건일 전후에 일관성 있는 초과수익률에 유의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지만 전체적으로 검증기간 동안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어 이를 누적한 초과익률에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진다. 누적 초과수익률(CAR)의 패턴을 보면 사건일 전 -14일부터 -4.07%(t=-2.04)로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하고, 사건일 후 +3일까지 계속적으로 하락이 있음을 볼 때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에 대하여 시장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하락세는 통계적으로 비유의하지만 사건일 후 +13일까지 계속되다 하락된 수준에서 일단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사건일 전·후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록기업의 성장성과 기업규모는 통계적으로 변화가 없었고 수익성, 안정성, 유동성은 t-값이 각각 -1.98, 1.84, -1.64로 5% 혹은 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록일인 사건일 이후 영업이익률은 다소 하락하였고, 부채비율이 상승하고 유동비율은 다소 저하되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보다 투자 지출이 상대적으로 많아 수익성과 유동성에 음(-)의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부채비율이 다소 증가한 것은 부채의 증가보다는 자기자본 가치의 하락으로 인한 부채비율의 증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동비율이 사건일 이후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고자산의 변화로 인한 것인지 현금지출로 인한 것이지를 알 수 없으므로 단정으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하지만 온실가스배출 감축사업을 하고 난 이후 유동성의 하락은 단기적인 자금의 지출로 인한 것이라는 하나의 추론을 배제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사건일 전·후 기업특성변수에 있어서의 변화를 평균차이분석을 계절성을 고려한 평균차이 분석의 결과에서 수익성(영업이익)과 안정성(부채비율)은 공시일 전에 비하여 공시일 후에 유의적으로 악화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누적평균초과수익률(CAAR)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1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형에서는 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이 높은 기업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 사업과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성을 측정하는 변수로 매출액을 기준지표로 선택하였는데 매출액이 많을수록 온실가스 배출이 많을 것이며, 특히 생산하는 제품이 유해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기업일수록 온실가스 배출과 매출액은 연관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모형 2과 3에서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 등록 기업으로 공시된 후에 누적평균초과수익률과 수익성(영업이익률)은 10%의 유의수준에서 음(-)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형 1과 2에서 유동성(유동비율)도 5% 및 10%의 유의수준에서 누적평균초과수익률과 음(-)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형 1∼4에서 전반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 공시로 인하여 기업의 수익성과 유동성이 누적평균초과수익률과 음(-)의 관계가 발견된 것은 앞의 평균차이 분석과 유사한 결과이다. 특히 종속변수인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의 통계적 유의성이 가장 높았던 모형 2에서 수익성과 유동성 변수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라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이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사업에 투자한 시설비용이 기업의 수익성과 유동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물론 이러한 시설과 관련하여 국가로부터 인센티브를 지급받고 있지만 인센티브가 지출된 투자시설에 충분한 보상이 되고 있지를 못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오염물질로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기업은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책임(liability)을 져야 하며 이러한 책임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원가상승이나 생산성의 위축 등과 같은 희생을 감수하여야 한다는 이타적 자기책임가설(altruistic liablility hypothesis)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환경관련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기간이 지난 이후에 나타나고 단기적으로는 비용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살펴본 단기적인 시장 반응을 미루어 단정적으로 판단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ment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and the value of firm is controversial. The one is the value-added asset theory that the investment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will increase the firm value resulted from the innovation of the products. The other is the altruistic liability theory that the firms producing the emission is liable to reduce the amount of emission. The costs related to decrease emission will increase the firm's production costs, which will lead the firm's value to be decreas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Korea Certified Emission Reduction(KCER) on the capital market as well as firm's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sample firms are selected from the firms that have enrolled the project of KCER from 2007 through 2011, and the firms that do not have the other major public announcement around the event time when the firm is certified in the KCER. And the selected firms are the listing companies on the KRX(Korea Exchange). For the clean data set, we impose more requirement for selecting sample firms. First, the stock price for the firm should be avaliable and accep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market response. This means that the liquidity of the trade of stock for the firm should be more than a moderate level to be able to be considered that the price of firm's stock must reflect the meaningful information. Second, for the market response we selected the firms whose daily stock prices are available for the estimation period. Third, to capture the pure effect of KCER on the firm's stock value in the capital market during the event period, we select the firms which do not have the other public announcement for the event period, so that we compose the clean data as the sample. Based on these selection criteria, 120 firms are finally selected.
The abnormal retrun(AR)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8th, -4th,-3th, +4th, +10th, and 16th day of event day at the 5% of significance level, but it did not seem that the project of KCER affected the overall market.
Even though the KCER did not affect the AR generally at the 5% of significance level around the event day, the AR were consistently the negative(-) during the estimation period. These movement was reflected on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CAR) as shown in [Figure 1]. In the [Figure 1], we could confirm that the CAR had a pattern such that the CAR abruptly dropped from the -14th day of event up to -4.07%(t==2.04), and this decrease in the CAR continued until the 3rd day of the event. From this result, we could think that the investors had the negative perception for the project of KCER. This implies that the investors were recognizing the firm value would be decreasing because the firms paid more costs for the improvement of emission required by the KCER.
The size and the growth of the firm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event day, but the profitability, stability, and liquidi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t-value of these were -1.98, 1.84, and -1.64,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the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project would cause the rate of EBIT and the current ratio to be dropped and the debt ratio was increased after the event day. It was because the certified firms in the KCER made investments for the improvement of emission reduction, which was more than the incentives for the reduction of emiss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We could imagine that the reason why debt ratio was increased was that the market value of firm's shares decreased. When we consider the seasonal effect on the firm's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above results of the mean diff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자료 및 관련변수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 주식시장에 미국 금융위기가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20세기 이후의 세계대공황에 관한 고찰
- 한국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과 시장반응
- A British Company in British India before 1945: The Case of J. & P. Coats
- 축제가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 영국의 에든버러 축제와 리즈 웨스트 인디언 카니발을 중심으로
- 한국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여대생의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
- 적자회피 이익조정과 수익비용대응 :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 한국 주식과 선물시장에서 정보도착과 가격 변화에 대한 연구
- 신용카드사용이 세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소비세를 중심으로
- 日韓コミュニケーション増進と日韓関係
- Current State and Rational Management of the Distribution Warehouses of Enterprises in Asia and Europ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