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 이주민 문화와 연극 - 네즈마 Nedjma 극단을 중심으로
이용수 26
- 영문명
- Culture et Théâtre des immigrés en : France Focus sur la troupe Nedjma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임재일(Jaeil LIM) 이현주(Hyunjoo LE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2집, 75~1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프랑스 이주민 연극은 1970년대 중후반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며 연극계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지만, 1980년대 들어 성장동력을 잃은 채 급격히 사그라지고 만다. 1976년에 창단된 네즈마 극단은 프랑스 연극계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는 못하고 있으나 이주민 연극에서 역사적 상징성을 가진다. 1980년대 이후 거의 모든 이주민 극단이 사라진 상황에서 네즈마 극단은 최근까지 창작 활동을 이어가며 프랑스 이주민 연극의 전통과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네즈마 극단은 40년 이상 활동하며 20여 편의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레퍼토리 공연을 통해 이주민과 관련 지역의 학교, 소극장, 카페, 문화의 집 등을 통해 프랑스 이주민 문화를 대중에게 소개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또한 아비뇽 연극제 등 다양한 축제 및 행사에 참여하여 이주민뿐만 아니라 프랑스 관객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 극단은 아마추어 극단에서 출발하여 극작, 연출, 연기 등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전문 극단으로 성장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무엇보다 이주민의 힘겨운 삶이나 마그레브 전통과 현대 사회를 프랑스인들이 이해하도록 한 점이 의미 있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Le théâtre de l’immigration en France a connu une période d’activité intense dans le milieu des années 1970, apportant de nouvelles orientations à la scène théâtrale, mais perdant rapidement de son dynamisme dans les années 1980. Fondée en 1976, la troupe Nedjma n’a pas véritablement attiré l’attention du milieu théâtral français, mais elle demeure cependant un repère historique pour le théâtre de l’immigration. Alors que la plupart des troupes de ce type ont disparu depuis les années 1980, la troupe Nedjma continue de créer activement, perpétuant ainsi la tradition et l’héritage du théâtre de l’immigration français. Au cours de plus de 40 ans d’activité, la troupe Nedjma a présenté une vingtaine d’œuvres fort diverses. À travers son répertoire, elle a cherché à introduire la culture des immigrés auprès du grand public français, dans des écoles, petits théâtres, cafés et Maisons de la culture locaux. De plus, elle a participé à divers festivals et événements, comme le Festival d’Avignon, cherchant à communiquer non seulement avec les immigrés mais aussi avec le public français. La troupe mérite également d’être saluée pour son parcours, simple troupe d’amateurs ayant évolué en une troupe professionnelle, assumant l’écriture, la mise en scène et l’interprétation de ses œuvres. Surtout, elle a contribué à faire comprendre aux Français la difficile vie des immigrés ainsi que les traditions et la société moderne maghrébines.
목차
1. 프랑스 이주민 문화의 형성과 뵈르 문화
2. 1980년대 프랑스 이주민 사회
3. 뵈르 예술: 문학과 연극
4. 이주민 극단의 마지막 보루, 네즈마 극단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술라이만의 항해를 통해 보는 바다와 인간 - 고래와 용연향을 중심으로
- 「통합 개선과 이민 통제를 위한 2024년 1월 26일 법」에 관한 연구
- En Rade de Huysmans : La souffrance de la quête d’identité dans un paysage fantastiquement réel
- 프랑스어 접속법문의 형태 연구
- 프랑스 요리와 맛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티오피아 문명과 자아의 탐색 - 제라르 마세의 『에티오피아 : 책과 양산』을 중심으로
- 프랑스 이주민 문화와 연극 - 네즈마 Nedjma 극단을 중심으로
- 퐁주와 액체 - 액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 여성과 역사 - 『사랑, 판타지아 L’Amour, la fantasia』, 『외딴방』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