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풍호 자드락길의 문화자원과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 청풍호 자드락길 제6코스 괴곡성벽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heongpungho Jadeurak-Road of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tourism Revitaliz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안상경(Sang-gyeong An)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22집, 271~2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heongpungho Jadeurak-Road Nature and geography of the cheongpungho to activate cultural tourism, people, tourists understand the emotional nature, and further need to develop story-telling tour has to be taken into account so that self-identification. Restoration, excavation of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n each region, and there is a need to conduct interdisciplinary projects for tourism storytelling. Attention to set the interval for each concept in the cultural specificity. Salridoe the current interval by name, and delivers a new concept with a new member. Sansindang, it would be necessary to restore the Seonangdang, as well as the old faith anthropogenic succession can be called God and humans co-exist to succeed is to put the sacred space that purpose notify to the tourists. It is a walk through the ‘Road’ Because of his personality signs of ecotourism as nature-friendly as possible and composition. Flat out at the level to pass the story on the website, a walk-hand experience as to demonstrate the ability to provide Tangible information. While local residents derive a unique life story and the culture of the tourists that contains the resource through the delivery by the commentators to interact.
영문 초록
목차
Ⅰ. ‘길’의 의미 변화와 ‘관광’의 인문학적 해석
Ⅱ. ‘청풍호 자드락길’의 문화자원과 원형 가치
Ⅲ. ‘청풍호 자드락길’의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백제의 지배구조와 왕위계승 갈등의 반복 배경
- 고구려 패망과정의 위기관리 연구 - 보장왕 시대의 나당의 간접전략과 고구려의 국력요소를 중심으로
- 『삼국지』 동이전에 기술된 ‘禮’의 의미와 양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