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공무원의 직무몰입이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Job Engagement on Disaster Response Capacit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동록(Dong R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3號, 181~2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는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 감염병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재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은 인적, 물적 자원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한다. 이에 효과적인 재난 대응은 사회와 국민을 보호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경찰공무원의 역할은 이 과정에서 중추적이다. 경찰은 재난 발생 시 초기 대응 단계에서 질서 유지, 인명 구조, 복구 작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므로, 그들의 대응 역량은 재난 관리의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찰공무원의 직무몰입은 재난대응역량을 높이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직무몰입과 재난 대응 역량 사이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내적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을 제안하고 매개효과를 탐구하여, 재난 상황에서의 경찰 역할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 검증 결과, 직무몰입(=.66, p<.001)이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 검증 결과, 직무몰입(=.29, p<.001)은 재난대응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도 재난대응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3, p<.001). 분석 결과는 경찰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몰입이 재난 대응 능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고 회복탄력성이 이러한 관계를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직무몰입이 높은 경찰공무원이 재난상황에서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조직에서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직무몰입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찰조직은 직무몰입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더불어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faces many forms of disasters, not just emerging viral infectious diseases like COVID-19. These disasters not only cause huge losses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ut also cause social disruption. Effective disaster response is an essential part of protecting society and its people, and the role of police officers is pivotal in this process. Police officers are directly involved in maintaining order, saving lives, and recovering from disasters during the initial response phase, so their response capabiliti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In this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police officer engagement plays a key role in enhancing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furth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mitment and disaster response capacity,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nal factors of individuals. In this study, we propose resilience as such an internal factor and explore its mediating effec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e role in disaster situ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commitment (=.66, p<.001) was positive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mediating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on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job commitment (=.29, p<.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nd the parameter resilienc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33, p<.001). The results suggest that police officers' job engagement directly enhances their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at resilience partially influences this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police officers with higher job commitment have the ability to respond more effectively in disaster situ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s that promote resilience in police organizations can enhance job commitment, which in turn can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Therefore, police organizations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a variety of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to enhance resilience in addition to strategies to increase job eng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치경찰제도 시행 이후 경찰의 재난관리 활동 분석 : 언론자료를 중심으로
- 경찰 바디캠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탐색 연구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3券 第3號 목차
- 한국의 혼잡·교통유도경비 활성화 방안
- 신용정보법과 탐정업의 연관성 및 탐정업의 현실태에 대한 연구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시사점 연구 : 국가위기관리 측면의 하이브리드·인지전 양상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직무몰입이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범죄피해 두려움의 영향요인 비교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직무만족 및 갈등에 미치는 영향
- 법과 제도 및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