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Under- and Hyper-Reading in Joint Security Area and Decision to Leave

이용수  210

영문명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한인혜(Inhye Han)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3권 3호, 59~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가 타자나 세계에 대해 지각한 것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첫째 범주는 심층의 맥락에 기반한 중층 현상이며 둘째 기저의 역학 구조가 결여된 표피현상이다. 이 연구에서 언급하는 ‘미진(未盡)적 독해’란 현상을 결정짓는 기저의 권력이나 구조에 대한 이해 없이 감각적으로 경험된 표피 현상이 전체라는 가정에 입각한 독법이다. 반면 ‘과진(過盡)적 독해’란 단편적이고 찰나적인 현상을 징후나 은유로 파악하여 전체적 면모, 심층의 구조, 기표의 하위 층위에서 작동하는 실체를 드러내거나, 맥락이 결여된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는 독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공동경비구역 JSA>(2000)과 <헤어질 결심>(2022)이 각각 어떻게 미진성 독해와 과진성 독해를 의미화하는지 분석한다. 본문에서 두 작품의 장면 분석을 통해 박찬욱이 미장센을 구성하는 고유한 방식이 비범한 것을 범상한 것으로 연출하는 데 있음을 밝히고, 그 독특한 미장센의 미학이 두 독법의 오류를 빗겨가는 방식을 탐색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헤어질 결심>이 조명과 방백과 같은 연극 장치를 차용하고 변용하여 극영화의 장면에서 잘 부각되지 않는 연출적 성격을 전면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밝힌다. <공동경비구역>은 미진적 독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투사하는 반면 <헤어질 결심>은 과진적 독해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견지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상반된 독법을 다룬 두 영화가 역한성(閾限性) 미학의 최대치를 구현한 작품임을 논증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Joint Security Area (2000) and Decision to Leave (2022) each deal with under-reading and hyper-reading, respectively. Under-reading substitutes surface phenomena for the undergirding structure or power, assuming that, under the surface, there is nothing to plumb. Hyper-reading, on the other hand, can be bifurcated into two modes: one is perceptively discerning what lies beyond the empirical data, and the other is erroneously supposing there is an underlying basis to what is seen, which is, in fact, nonexistent. My analysis shows that Park Chan-wook’s signature style of mise-en-scéne creation turns the extraordinary into the ordinary, not vice versa, demonstrating how this distinct mise-en-scene aesthetic circumvents both the error of under-reading and of hyper-reading.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Decision to Leave employs and coopts the theatrical devices of lighting and solo asides to stress the staged qualities of given scenes. Whereas Joint Security Area subtly criticizes the under-reading practice, Decision to Leave centers on the ambivalence of hyper-reading. This study argues that Park’s two films probing of the theme of under- and hyper-reading instantiate the cinematic aesthetic of liminality par excelle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ODY
Ⅲ.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인혜(Inhye Han). (2024).Under- and Hyper-Reading in Joint Security Area and Decision to Leave.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3 (3), 59-92

MLA

한인혜(Inhye Han). "Under- and Hyper-Reading in Joint Security Area and Decision to Leave."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3.3(2024): 5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