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Dual-income Parents in Jej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미주(Mi-Ju Kim) 연준모(Joonmo Yu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2권,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의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우울, 마음챙김의 상관 관계와 함께, 일-가정갈등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150명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일-가정 갈등, 우울, 마음챙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마음챙김이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주는 영향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를,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우울은 각각 마음챙김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마음 챙김은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맞벌이 부모 전체 및 부모의 성별을 구분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경우에 있어서 마음챙김이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mindfulness among dual-income parents in the Jeju region, as well as to investigate how work-family conflict affects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mindfulnes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e study targeted 150 dual-income parents residing in Jeju who hav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or younger. Through a survey conducted with these participants, the correl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mindfulnes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was explor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eac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Lastly,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by considering the entire sample of dual-income parents and by separating the parents by gender,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in all ca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then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지역 소비자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구매의도/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 제주 돌문화 고찰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제주 신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인물 분석
-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 체류형 관광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 체류 한달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이용가치 제고를 위한 방문객 인식 연구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의 적용을 통해
-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 호랑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 오키나와의 기지화 과정과 제주4·3, 여수·순천10·19
- 한라산의 신성성(神聖性)에 대한 연구
-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 - 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 제주도연구 제62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