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 <나의 해방일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94
-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동환 홍종열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4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37~24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7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한 1인 문화를 특정 세대의 문화특질로 보긴 어렵다. 짐멜이 근대 이후 개인주의의 등장 이면에 자본주의적 관계변화가 있다고 본 것처럼, 1인 문화의 창발 역시 자발적인 것이 아니다. 1인 문화의 이면에는 니트족, 은둔형 청년, n포 현상 등 문제상황에 부딪힌 청년들의 모습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집단적 권태’라는 청년세대의 특수한 감정상태에 주목하게 한다. 권태는 좌절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무기력과, 선택이나 지향의 포기로 이어지는 감정 상태이다. 청년세대가 겪는 권태는 두 가지 사회적 요인이 만나 인과성을 이룬다. 하나는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기인한 소외현상이고, 다른 하나는 자본주의와 함께 태동한 능력주의이다.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사회초년생 시기까지 한국사회의 능력주의 담론과 신자유주의적 시장논리에 장기간 노출되어 나타난 청년소외가 하나의 감정상태가 될 때 청년세대는 ‘집단적 권태’를 경험한다.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를 잘 그려낸 드라마가 <나의 해방일지>이다. 이 작품은 한국 청년세대의 감정상태의 기저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극중 인물은 모두 행복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곧 포기와 단념, 권태로 이어진다. 보드리야르는 평등의 대전제가 행복이며, 현대인의 행복은 소비사회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평등과 행복은 모두 소비사회가 만들어낸 하나의 허구라는 것이다. 그런데 청년세대는 능력주의에 의한 거듭되는 소외를 경험하며 평등과 같은 거대담론에 대해 무기력한 상태가 되었다. 작품 속 인물들은 경쟁과 성취에 익숙한 기성사회에 대해, 성과에 대한 정당한 보상 대신 그 다음의 성과만을 바라는 사회에 대해, 좌절 이후의 보호막까지 제거한 신자유주의 사회에 대해 저항할 힘을 잃고 집단적 권태라는 감정 상태를 드러낸다. 이는 1인 문화의 근본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인물들 각자가 ‘자기의 테크놀로지’(Technologies of the self :푸코)를 갖고 ‘여기에서 저기로’ 일정한 ‘도주선’(들뢰즈)을 그어내는 전혀 다른 행복, 즉 ‘해방’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기성세대의 억압으로부터, 소비사회의 잉여로움으로부터, 성장 담론의 허위의식으로부터 ‘뚫고 나가’게 된다. 저성장 시대, 신자유주의적 능력주의와 청년소외에 기인한 집단적 권태에 놓인 상황에서, 그것마저 여전히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청년세대에게는 근본적이고 사회적인 인식 전환의 계기가 필요하다. 이 작품은 대중적인 서사와 다소 거리가 있지만, 이러한 드라마 서사의 사회적 역할에 충실하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 비자발적 1인 문화의 도래
Ⅱ. 능력주의 시대의 청년소외
Ⅲ.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 담론의 영향관계
Ⅳ. <나의 해방일지> 주요 인물의 서사 속 권태
Ⅴ. 결론 : <나의 해방일지>의 서사적 성과
참고논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년 하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토론문] 21세기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발전에 대한 문화적 고찰: 전개 양상과 세부 분류(방법론으로서의)에 대한 반성적 검토
- [토론문] “문화콘텐츠의 강령과 문화생태주의적 방법론” 논평
- [토론문] ‘디지털 시대 문화콘텐츠 수용자의 미디어 정체성: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을 경유하여’ 토론문
- [토론문] “새로운 콘텐츠 연구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gounded theory)의 가능성 모색” 토론문
- ‘반 고흐 After Project’ - 생성 AI를 적용한 반 고흐 사후(死後) 작품 콘텐츠 연구
- [토론문] 무릎 꿇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설교: 대중 매체에서 종교 영화의 역할에 대한 고찰
- [토론문] “콘텐츠산업의 수도권 비수도권 격차와 지역기반형 공공인프라 효과에 대한 분석” 토론문
- 영문 학술지 『트랜잭션(Transactions)』의 발행과 근대기 한국 자연과 생태에 관한 연구
- [토론문] 영문 학술지 『트랜잭션(Transactions)』의 발행과 근대기 한국 자연과 생태에 관한 연구
- GPS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관광객의 이동 및 체류특성 분석
- MediaPipe 기반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연구 및 응용
- ‘콘텐츠액티비즘’으로의 디아스포라 담론 - 영화 <피부색깔=꿀색>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와 영화 산업에 관한 연구 - ChatGPT에서 Sora까지
- 영화 <파이트클럽> 폭력의 미학에 대한 연구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한국영화의 리뷰 분석
- 생성형 AI(Stable Diffusion)를 활용한 3D 캐릭터 모델링을 위한 캐릭터 컨셉 시트 제작 기법 연구
- 이미지 생성 AI와 프로젝션 맵핑 기법을 활용한 3D 배경 모델링 제작 공정 제안
- 생성형 AI와 3D CG를 활용한 2D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 연구
- 아미동 비석마을 내 비석 외형 특성 분석
-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 <나의 해방일지>를 중심으로
- OTT 자율등급제 시스템 효율화 방안 연구
- 디지털 시대 문화콘텐츠 수용자의 미디어 정체성: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을 경유하여
- 게임 매체의 정치적 올바름 활용 방안 연구
- AI 생성 기반 액팅 레퍼런스 제작방법 연구
- 충청남도의 무형유산을 소재로 한 무용공연 작품개발 전략연구
- 한일 간 소도시 여행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 중국 SF영화 속 인공지능(AI) 캐릭터의 신체 재현 - 중국영화 <로봇8호>을 중심으로
- 비발디 <사계>의 현대적 수용과 고찰 - 소네트와 라이트모티프 중심으로
- [토론문] “‘내용분석법’을 적용한 문화콘텐츠학 연구의 진단과 성찰” 토론문
-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한국 전통춤의 무보 아카이빙 구축 방안
- Without Kneeling Down, One Can Also Feel Preaching: An Examination of Religious Films in Mass Communication
-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 아카이빙 - 예술적 가치와 기술적 도전
- 문화콘텐츠의 강령과 문화생태주의적 방법론
- 문화혼종성 관점에서 본 중국 동영상 플랫폼 비리비리(bilibili)에 관한 고찰 - 세배기(拜年纪)를 중심으로
- ‘내용분석법’을 적용한 문화콘텐츠학 연구의 진단과 성찰
- 21세기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발전에 대한 문화적 고찰: 전개 양상과 세부 분류(방법론으로서의)에 대한 반성적 검토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목차
- [토론문] 반 고흐 After Project - 생성 AI를 적용한 반 고흐 사후(死後) 작품 콘텐츠 연구
- [토론문] OTT 자율등급제 시스템 효율화 방안 연구
- 콘텐츠산업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와 지역기반형 공공인프라 효과에 대한 분석
- 새로운 콘텐츠 연구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gounded theory)의 가능성 모색
-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사유의 관점에서 본 다큐멘터리 영화 - 김동령·박경태 감독의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분석을 중심으로
- ‘인터넷 밈’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흥행요인 분석 - 애니메이션 <비인재(非人哉)>을 중심으로
- 중국 숏폼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AI 기술 활용 양상
- 이민 기억의 재현과 문화 정치적 함의
- 문학 수업에서 AI를 활용한 <바리공주> 무가의 교육적 의의 지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역사와 융합 제25호 목차
- 초기 한역 불경과 곽상의 『장자주』에 보이는 ‘자연’에 관한 고찰
- 『자평진전』에 나오는 유정(有情)·무정(無情)의 통변(通變)에 따른 통변(通辯) 적용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