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 of gross motor function level and age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이용수 57
- 영문명
- Effect of gross motor function level and age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하선영(Sun-Young Ha) 성윤희(Yun-Hee Sung)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5권 제2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뇌성마비는 자세와 운동 발달에 문제를 가지고 있고, 부모들은 이런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 수준과 연령이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9명의 뇌성마비 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총운동기능, 일상생활 및 자세이동,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운동기능에 따른 일상생활과 자세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05), 부모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에는 차이가 없었다(p >.05). 아동의 연령에 따라 유아기 부모가 취학전 아동의 부모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따라서 영유아기 뇌성마비를 양육하는 보호자를 위한 보다 폭넓은 사회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Cerebral palsy causes problems with posture and motor development, and parents are stressed about their children's problem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gross motor function level and ag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parents'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gross motor function,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were assessed through questionnaires to the guardians of 69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ostural mobility according to gross motor function (p<.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p>.05). Depending on child’s age, parents of infantile period (7~24 months) experienced more stressed than parents of pre-school period (25~68 months) (p<.05). Therefore, we suggest that a broader social support plan is needed for guardians raising infantile period with cerebral palsy.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S AND METHODS
III. RESULTS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 디비전 시스템에 관한 국외 학술 연구 지식체계 분석
- 대학 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운동스트레스, 스포츠행복의 관계
- 노인복지시설 건강운동 지도자의 교육활동 경험을 통한 노인체육 전문인의 삶
- Effect of gross motor function level and age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CiteSpace 시각화 분석을 통한 중국 장애인체육 연구동향 탐색: 2004∼2023년을 중심으로
- 필라테스가 만성요통 중년여성의 부정렬 개선과 움직임 공포증에 미치는 효과
- 워드클라우드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력 관련 인식 분석
- 운동재활·복지 제5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연결망 강도가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