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School Architectural Design Suggestions through School and Architecture Design in Germany and Japa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지혜(Ji Hye Lee) 이영아(Young A Le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6권 제4호, 201~2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국가의 건축 디자인은 국가적 차원의 도시계획과 사회의 문화 그리고 환경 등에서 영향을 받으며 추진되고 결정된다. 사회 구성원이 사용할 건축물은 사용자의 편의와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반영한 결과물이다. 인간이 태어나 인격형성을 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를 우리는 학교에서 보낸다. 하지만 우리가 성장하는 것에 비해 학교는 약간의 규모의 변동이 있었을 뿐, 거의 바뀌지 않았다는 것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근대 이후 학교생활은 교도소와 같은 직사각형의 교실에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한 옷이 아닌 교복을 입고, 똑같은 모양의 책상과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고 식사를 해왔다. 학교라는 하나의 틀 안에 개인의 삶을 맞춰가는 것에 익숙한 나머지 학생들이 독창성과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과는 거리가 먼 학교 건축 디자인이었다. 한 국가를 대표하는 인재로 양성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자, 창의성과 독창성을 겸비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 건축의 변화가 필요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건축의 변화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유럽과 아시아 국가의 사례를 통하여 한국 교육의 현재와 향후 한국 학교 건축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물론, 선진국 사례라고 해서 이들 모델이 완벽하지는 않기에 한국의 문화, 정서 등이 반영된 학생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창조해가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라고 판단된다. 최근 “꿈을 담은 교실” 프로젝트는 한국 학교 건축 디자인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이다. 긍정적인 사례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교육과정 등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디자인 계획과 보완을 해나간다면, 향후 학교 건축 디자인의 선진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Architecture design of a country is decided and promoted under the influence of urban planning, culture of society and environment at national level.
The building which member of society will use is the product reflecting ease of use and many considerations. We were born and we spend time at school during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However,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chools have only slightly changed in scale compared to our growth, but have remained almost unchanged.
Since the modern era, school life has been studied in a rectangular classroom like a prison, where students dressed in school uniforms instead of clothes expressing their own personality, sitting on the same desk and chairs and studying. It is a school architecture design that is far from the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develop originality and creativity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align their personal life in one frame of school.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with creativity and originality as well as important spaces to cultivate talents representing a nation, changes in school architecture we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urrent and future Korean school architecture design through the examples of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which have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school architecture.
Of course, these models are not perfect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the future direction is to re-create the space for students reflecting Korean culture and emotion. The recent “Classroom with Dreams” project is an example of the changing design of Korean school architecture. If we continue to plan and supplement the design by reflecting Korean culture and curriculum through positive cases, it can be used as an advanced case of school architecture desig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국내·외 학교 건축 디자인 사례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ff Satisfaction in Private Higher Education in China
- 동북아 국가의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일본 장수기업의 장수요인과 조직수명주기 패턴에 관한 연구
- Path Dependency of the Japanese Emperorship: The Case of Emperor Akihito’s Abdication
- 국회 상임위원회 공청회 개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법안 속성을 중심으로
- Forecasting International Tourist Flows to a Small Island: The Case of Saipan
-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내부통제제도 정착방안: D사의 내부통제제도 도입 및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 대통령 지지율과 경제변수
- 야간 선물거래의 도입과 시장마찰의 변동: KOSPI 200 선물을 중심으로
- 제조업은 아직도 중요한가? 26개 선진국의 고위기술제조업과 경제성장
- 크라우드펀딩 성공요인 실증분석: 해외 킥스타터를 중심으로
- 중국 에너지소비와 경제발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독일과 일본의 학교 건축 디자인을 통해 본 한국 학교 건축 디자인 제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