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Buddhist Sculptures and Temple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정은우(Eunwoo Jeong)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5권 제1호, 120~13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계룡산은 삼국시대부터 국가적 제사처로 숭상되었고 절경으로 조선시대 사대부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 명산으로 이어져 현재에 이른다. 대표적인 사찰은 동학사, 갑사, 신원사로서 다양한 문헌자료와 문화유산을 남겼다. 현재는 없어진 고왕암과 마명암은 백제 패망과 관련된 설화를 간직하고 있어 콘텐츠 활용측면에서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계룡산에 남아 있는 불교조각은 석불은 적은 편이며 대부분 조선시대 17세기 이후부터 근대까지 다양한 재료로 만든 작품들이 전한다. 특히 17세기에는 가장 우수한 조형성을 가진 불상들이 남아 있다. 계룡산의 사찰과 불교조각은 향후 집중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중요자료로서, 그 특징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계룡산이 갖는 불교문화적 의미와 고찰이필요하다.
영문 초록
Gyeryongsan Mountain was considered an important national memorial service sit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a famous mountain with bizarre peaks and beautiful scenery that impressed the noble clas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istoric temples and hermitages date to the present with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Gyeryongsan Mountains.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are representative templates for various literary materials and cultural heritage sites. These templates provide important data for content utilization. The Gowangam and Mamyeongam Hermitages, with no traces now, have left behind folktales related to the defeat of the Baekje Dynasty. Most Buddhist sculptures in the temples and hermitages in Gyeryongsan date back to the 17th century or la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Although Gyeryongsan is a rocky mountain, few stone Buddha statues exist, but many outstanding wooden Buddha statues from a formative point of view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clay Buddha sculptures and Zeolite Buddha statues in the modern period, have notable features. Buddhist sculptures and temples in Gyeryongsan are important subjects for intensive investigations and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uddhist cultural significance of Gyeryongsan as a national park.
목차
서론
계룡산국립공원의 현황과 역사
계룡산국립공원 내 사찰과 암자
계룡산의 불교조각과 그 특징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룡산국립공원 내 사찰과 불교조각
- Two Species of the Genera Orthomiscus and Thymaris (Hymenoptera: Ichneumonidae: Tryphoninae) New to South Korea
- 국립공원 생태탐방원의 브랜드 포지셔닝
- 가야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연구지 제15권 제1호 목차
- 오대산국립공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분포 특성
- 국립공원 탐방지 선택특성에 따른 집단간 탐방행태 비교 연구
- 대응분석을 활용한 국립공원 생태 문화·교육플랫폼 조성 예정지별 방문 특성 분석
- 태백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 10개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 무등산국립공원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섭식기능군 및 군집안정성 분석
- Vascular plants of Namhae-gun area (Namhae Bridge and Sangju· Geumsan district)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Reproductive Biology of Bupleurum euphorbioides, a Vulnerable Alpine Herb in Korea, Impacted by Climate Change
-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공주 학봉리 요지 출토 분청사기의 현황과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