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수업효과 분석 연구
이용수 1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sson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숙(Jongsuk Kim) 김영우(Youngwoo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07~1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초교양과 전공과정에서 운영된 비판적 사고 관련 교과목의 수업효과를 분석하고, 비판적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형태는 사전·사후측정설계와 사후측정설계가 혼합된 연구설계이다. 비판적 사고력 지필검사는 2022학년도 2학기부터 2023학년도 2학기까지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사전·사후측정설계에서는 실험집단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의 비판적사고력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사후측정설계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비해 비판적 사고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방법별로 비판적사고력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총점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합리적 평가 하위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더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단기간의 교육으로는 비판적사고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비판적 사고력 증진 방안과 장기적효과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 확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essons on critical thinking-related subjects operated in basic liberal arts and majorsubjects and seeks way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research design is a mixture of pretest-posttest and posttestdesigns. The critical thinking test was administered from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2 academic year to the secondsemester of the 2023 academic year. Analysis of the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pretest-posttest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test-posttest design. On the otherhand, the posttest design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er critical think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by teaching method,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the total score, but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ffective when it came to the rational evaluation subscale. This study found that short-termeduca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overal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suggested continuous researchexpansion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evaluation of long-term effects.
목차
1. 서론
2. 비판적 사고력 문헌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목차
- 토론식 수업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 및 교육경쟁력 강화
- 대학의 비이공계열 학생을 위한 교양수학 교과목 ‘수학과 생명과학’ 강의설계및 운영사례
-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내용에 대한 교육수요자의 인식 차이가 교양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
-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적 성과 검증을 위한 공동 연구
-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과 창의적 마인드셋 변화를 통한 창의성 교양수업의효과성 분석
- 행정기관 공공언어의 ‘공공성’과 ‘정보성’ 실태 분석
- 로더러의 『음악 물리학 및 음악 심리 물리학』의 서사 분석
- 고등교육 종교 교과목의 현황과 과제
- 기초학문 위기와 교양문리대학의 필요성
- 생성형 AI 시대 인문교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론
-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수업효과 분석 연구
- 소셜벤처 플래닝 수업 사례 연구
- 교양 교과 적합성에 대한 재고
- 변혁적 역량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
- 인문주의 관점에서 본 고등교육의 핵심체계로서의 시장주의 교육이데올로기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 Arising and Ceasing in an Instant (刹那生 刹那滅): Perceiving the Flow of Change in the I Ching through Hexagonal Visualization
-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Walking Combined with Medit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