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 공예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수용

이용수  89

영문명
Embracing Handmade to the Digital in Craft: Focusing on the Craft Works using Haptic Device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명주(Myung-Joo Lee) 남유진(You-Jin Nam)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2권, 25~4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은 하나의 표현 기법으로 끊임없는 호기심을 자극하고 형식과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표현 세계를 제공한다. 공예가들 역시 이러한 디지털 기법을 창작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여 감각을 확장시키고 또 다른 창작영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전통적인 공예 기법에 융합시킨 사례들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촉각 장치를 활용하여 공예의 감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발전시키고 새로운 시각 조형 언어와 디자인을 창조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디지털 융합의 시대라 볼 수 있는 현 시점에서 현대 공예의 의미와 가치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공예는 재료, 매체, 도구 없이는 생산될 수 없으므로, 따라서 오늘날 디지털 기술 적용에 의한 제작 과정의 근본적인 변혁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개성과 인간적인 감성이 결여된 기계 창작물에 대해 공예적인 사고와 감성, 친밀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공예와 디지털 기술은 서로 융합, 수용될 수 있으며, 공예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과 도전 영역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Digital technology, as an expression technique, stimulates endless curiosity and provides a world of expression that is not bound by form and tradition. Craftsmen are also using these digital techniques as a tool for creation to expand their senses and expand into other creative areas. This study examines examples of works that reinterpret traditional crafts by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ies, especially works that maintain the sensibility of crafts and create new visual formative language and design using haptic interface devices. At this point, which can be seen as a new era of digital convergence, the meaning and value of modern crafts can be derived. Crafts cannot be produced without materials, media, and tool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changes in the making process b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today. Crafts and digital technologies can be fused and accepted in terms of providing craft thinking, sensibility, and intimacy to machine-made creations that lack individuality and human sensibility.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is expected to inspire craftsmen and designers and provide new creativ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촉각 장치 기술
Ⅲ. 디지털 촉각 장치를 활용한 현대 공예 사례 연구
Ⅳ. 디지털 시대의 미의식과 수공성의 현대적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주(Myung-Joo Lee),남유진(You-Jin Nam). (2024).현대 공예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수용. 조형디자인연구, 27 (2), 25-40

MLA

이명주(Myung-Joo Lee),남유진(You-Jin Nam). "현대 공예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수용." 조형디자인연구, 27.2(2024): 2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