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권력세습과 재연된 후계자 논쟁
이용수 38
- 영문명
- North Korea's Succession of Power andRenewed Successor Debat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 저자명
- 백승국(Seung-kuk Baek) 김동욱(Tong-ook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Vol.10 No.1, 7~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은 혈통에 의한 3대 세습으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 김정일 시대에 누가 후계자가 될 것인지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었다. 당시 학계에서 김정남과 김정철이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었고, 김정은은 후계자로서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현재 김정은이 김정일의 뒤를 이어서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 2022년 11월, 김정은이 딸을 공개함으로써 후계자 논쟁이 재연되었다. 재연된 후계자 논쟁은 김정은의 딸 ‘김주애’가 후계자로 내정되었다는 주장으로 시작되었다. 김주애를 둘러싼 연구자들의 논쟁은 제한된 정보와 자료의 부족으로 전개되어 소모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김주애의 등장이 남북한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4대 세습과 북한의 미래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정은은 4대 세습을 단행할 것이며, 우리는 미래에도 핵으로 무장한 북한과 대치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정부는 김정은의 후계자가 핵무기를 물려받지 않도록 대응해야 한다. 또한, 연구과제로 김주애의 등장을 목격한 이후 탈북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4대 세습과 김주애의 등장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아직 누구나 동의할 정도의 정보와 자료가 입수되지 않은 상황에서 후계자 논쟁은 무의미하다. 현재로서는 특정 인물이 아닌, 4대 세습 그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North Korea maintains its regime through a three-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During the Kim Jong-il era, there was an academic debate over who would become the successor. At that time, Kim Jong-nam and Kim Jong-chul were considered as strong candidates, and Kim Jong-un was not in the spotlight as a potential successor. However, Kim Jong-un is currently ruling North Korea as Kim Jong-il's successor. In November 2022, the succession debate was rekindled when Kim Jong-un publicly introduced his daughter. The renewed debate began with claims that Kim Jong-un's daughter, Kim Ju-ae, had been designated as the successor. The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regarding Kim Ju-ae are inherently exhaustive due to limited information and resour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Kim Ju-ae's emergence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ider the future of North Korea under a potential fourth-generation succession. It is likely that Kim Jong-un will implement a fourth-generation succession, and we may continue to face a nuclear-armed North Korea in the future. Thus, the (south korea)government should take action to prevent Kim Jong-un's successor from inheriting nuclear weapons. Additionally, for a research projec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fourth-generation succession and the emergence of Kim Ju-ae based on data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refugees who witnessed her emergence. In conclusion, in the absence of widely accepted information and data, the succession debate is meaningless. At present, it is advisable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fourth-generation succession itself, rather than on a specific individual.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권력이 세습되는 북한 체제
Ⅲ. 후계자 논쟁의 어제와 오늘
Ⅳ. 후계자 논쟁에 대한 성찰과 4대 세습 전망
Ⅴ. 나가며: 북한의 4대 세습과 우리의 과제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