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entiment Analysis on 'HelloTalk' App Reviews Using NRC Emotion Lexicon and GoEmotions Dataset
이용수 80
- 영문명
- Sentiment Analysis on 'HelloTalk' App Reviews Using NRC Emotion Lexicon and GoEmotions Dataset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Simay Akar Yang Sok Kim Mi Jin Noh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3, No.6, 35~4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ring the post-pandemic period, the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surged, leading to increased usage of language-learning apps. With the rising demand for these apps, analyzing app reviews becomes essential, as they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user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research focuses on extracting insights into users' opinions, sentiments, and overall satisfaction from reviews of HelloTalk, one of the most renowned language-learning apps. We employed topic modeling and emotion analysis approaches to analyze reviews collected from the Google Play Store. Sever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ntiment classification models with different settings. In addition, we identified dominant emotions and topics within the app reviews using feature importance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with topics and emotions outperforms other approaches in accuracy, recall, and F1 score. The findings reveal that topics emphasizing language learning and community interactions, as well as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tools and the learning experience, are prominent. Moreover, the emotions of 'admiration' and 'annoyance' emerge as significant factors across all models. This research highlights that incorporating emotion scores into the model and utilizing a broader range of emotion labels enhances model perform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WORK
	                       
	                          Ⅲ. DATA AND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큐싱 공격 탐지를 위한 AutoML 머신러닝 기반 악성 URL 분류 기술 연구 및 서비스 구현
- An Implementation of Effective CNN Model for AD Detection
- 경량화 MobileNet을 활용한 축산 데이터 음성 분석
- 밀집 샘플링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예측 성능 향상
- 수직 농업 자율 컨텍스 결정을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에 관한 연구
- 3D 의류 시뮬레이션 Z-weave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물 소재 비교와 지속 가능한 패션 산업에서의 실현성
- Sentiment Analysis on 'HelloTalk' App Reviews Using NRC Emotion Lexicon and GoEmotions Dataset
- 리뷰 데이터 감성 분류 성능 향상을 위한 Fine-tuning 방법
- Analyzing User Feedback on a Fan Community Platform 'Weverse': A Text Mining Approach
- 화물차의 제동장치에서 발생하는 과열 예측방안 연구
-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3, No.6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특허정보를 활용한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기술 융합 동향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게임 바이오 해저드의 캐릭터 성격분석 연구: 머레이의 욕구 및 압력 이론을 중심으로
- 보드게임 밸런스 요인과 플레이어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 생성형 AI 이미지 도구의 단계별 학습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