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유행 동안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6
- 영문명
-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on occupational valu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김수경(Su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2호, 67~7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동안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9월 10일부터 11월 11일까지이며 D와 K지역에 위치한 5개 대학의 3, 4학년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설명력은 22.1%(F=8.98, p<.00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멘토링, 진로 탐색, 간호 직업 인식 개선 프로그램의 참여를 독려하고 전공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직업가치관의 향상을 도모해야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ims to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ir occupational valu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nts were 170 juniors and seniors from five nursing college located in D and K reg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11,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the IBM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explaining occupational valu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2.1%(F=8.98,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mentoring, career exploration and nursing profession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nhance their occupational value by increasing their major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핵 위협에 따른 한반도 비핵화에서 북한 비핵화로 정책 변화 분석
-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호텔 로봇 서비스의 의인화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사회융합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지역사회 갈등과 갈등 해소를 위한 민원배심제 운영
- 간호사의 교대근무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 북한 근로단체 간에 나타난 오더링(Ordering)과 네이밍(Naming)의 정치
- 공액경사법을 이용한 LPG 운반선 화물창 내부구조물 중량최소화 설계
- 코로나19 유행 동안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혈액투석환자의 만성질환관리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이행의 관계에서 생의 의미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